•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야외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맞아 캠핑을 즐기는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우리나라 캠핑 이용자는 한 해 평균 540만 명 이상이며, 지난 2022년에는 584만 명이 캠핑을 즐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도별캠핑이용자: 2020년 534만, 2021년 523만, 2022년 583만(캠핑이용자 실태조사)

 ○ 캠핑은 날씨가 포근해지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 휴가철에 가장 많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캠핑장에서 많이 하는 활동으로는 휴식을 제외하고 바비큐와 모닥불 놀이, 요리로 모두 화재와 연관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3년(2021~2023)간 캠핑 중 발생한 화재는 176건이며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화재의 절반 이상(53%)이 불씨(화원)나 가연물 근접방치 등 부주의가 주요 원인이었다.

□ 캠핑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 바비큐나 모닥불 놀이 등으로 불을 피울 때는 화로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잔불 정리를 철저히 하여 화재를 예방한다.

 ○ 전기연장선을 사용할 때는 전선의 과열이나 피복 손상 등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선을 끝까지 풀어서 사용하여야 한다.

 ○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지 말고, 플러그와 콘센트 등이 물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음식을 조리할 때는 삼발이 받침보다 작은 불판과 냄비를 사용하여 과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 특히, 밀폐된 텐트 안에서 숯 등을 활용한 난방은 화재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니, 잠을 잘 때는 침낭이나 따뜻한 물주머니 등을 활용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 부득이하게 텐트 안에서 난방기기를 사용할 때는 수시로 환기하고, 휴대용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캠핑 시 바비큐·모닥불 놀이 등으로 불을 사용할 때는 화재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고, 텐트 안에서는 일산화탄소 중독에 주의하여 안전한 캠핑 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4-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53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03
2052 “집에 머무는 우리 아이 안전, 이것만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1.05.03
2051 "고혈압약 복용시 이런 것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1.05.03
2050 화창한 5월, 놀이시설·농기계·등산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1.04.30
2049 하절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예방ㆍ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4.30
2048 A형간염 환자 증가로 예방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4.29
2047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4.28
204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4.28
204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4.28
2044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1.04.28
2043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및 질식 위험 있는 Wuleeup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4.28
2042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시된 Quaker 쌀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4.28
2041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4.28
2040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1.04.28
2039 기준치 초과한 카드뮴이 함유된 어린이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4.28
2038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몬테소리 유아용 교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4.28
2037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4.23
2036 일렉트로포스社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4.22
2035 종합마트 GJ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4.22
2034 바다의 보랏빛 보물 '군소(바다달팽이)'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4.21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