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야외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맞아 캠핑을 즐기는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우리나라 캠핑 이용자는 한 해 평균 540만 명 이상이며, 지난 2022년에는 584만 명이 캠핑을 즐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도별캠핑이용자: 2020년 534만, 2021년 523만, 2022년 583만(캠핑이용자 실태조사)

 ○ 캠핑은 날씨가 포근해지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 휴가철에 가장 많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캠핑장에서 많이 하는 활동으로는 휴식을 제외하고 바비큐와 모닥불 놀이, 요리로 모두 화재와 연관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3년(2021~2023)간 캠핑 중 발생한 화재는 176건이며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화재의 절반 이상(53%)이 불씨(화원)나 가연물 근접방치 등 부주의가 주요 원인이었다.

□ 캠핑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 바비큐나 모닥불 놀이 등으로 불을 피울 때는 화로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잔불 정리를 철저히 하여 화재를 예방한다.

 ○ 전기연장선을 사용할 때는 전선의 과열이나 피복 손상 등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선을 끝까지 풀어서 사용하여야 한다.

 ○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지 말고, 플러그와 콘센트 등이 물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음식을 조리할 때는 삼발이 받침보다 작은 불판과 냄비를 사용하여 과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 특히, 밀폐된 텐트 안에서 숯 등을 활용한 난방은 화재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니, 잠을 잘 때는 침낭이나 따뜻한 물주머니 등을 활용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 부득이하게 텐트 안에서 난방기기를 사용할 때는 수시로 환기하고, 휴대용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캠핑 시 바비큐·모닥불 놀이 등으로 불을 사용할 때는 화재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고, 텐트 안에서는 일산화탄소 중독에 주의하여 안전한 캠핑 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4-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2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141215-141219)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18 2014.12.29
4371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141208-141212)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18 2014.12.29
4370 가전제품 판매사이트 쵸코렛콤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23 2014.12.30
436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98 2015.01.05
4368 비트코인 결제를 이용한 타다리치코리아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781 2015.01.06
436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1.∼2015.1.8.)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75 2015.01.13
436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9.∼2015.1.15.)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32 2015.01.16
436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16.∼2015.1.22.)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67 2015.01.26
436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23.∼2015.1.29.)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34 2015.02.02
4363 [공지]라이터 판매사이트 퍼펙트듀퐁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86 2015.02.17
4362 2014년 1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38 2015.02.26
4361 2014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79 2015.02.26
436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2.13.∼2015.2.26.)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54 2015.03.02
435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2.27.∼2015.3.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06 2015.03.09
4358 질식 위험있는 Plastoy 목욕장난감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60 2015.03.16
4357 [보도]다이어트식품, 무료체험 미끼로 한 해외 결제사기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57 2015.03.19
4356 [공지]상품권 판매사이트 오일더머니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769 2015.03.23
435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13.∼2015.3.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93 2015.03.23
435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20.∼2015.3.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12 2015.03.30
4353 모하비 차량 앞유리 무상 조치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923 2015.04.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