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은 ‘23년에 우리나라 19세 이상 1인 가구의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을 평가한 결과,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가공식품 및 식품첨가물의 생산·수입 규모 증가** 추세를 감안하여, 1인 가구가 가공식품을 통해 식품첨가물을 섭취하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 1인 가구 비중: (‘20) 31.7% → (’21) 33.4% → (‘22) 34.5%(‘23, 통계청)

   ** ➊ 가공식품 생산·수입 실적(원): (’20) 54.8조 → (’21) 61.1조 → (’22) 72.2조(‘24, 식약처)
      ➋ 식품첨가물 생산·수입 실적(원): (’20) 3.6조 → (’21) 3.8조 → (’22) 4.3조(‘24, 식약처)

평가원은 1인 가구가 선호하는 커피, 김치류, 발효주류, 탄산음료류 등 식품유형 69종*(붙임 1)에 많이 사용된 감미료, 보존료 등 식품첨가물 28종(붙임 2)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19~'21)에 따른 1인 가구의 섭취량과 섭취빈도 등 고려

그 결과, 1인 가구가 하루에 섭취한 식품첨가물의 양*은 0.0~103.4 μg/kg체중/일로, 1일 최대 섭취 허용량**의 0.9%이하 수준(붙임 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일일추정노출량 = Σ〔개인별 일일 식품섭취량 × 해당식품 중 식품첨가물 함유량 ÷ 개인별 체중〕/ 인원수

   **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에 대해 평생 동안 섭취해도 위해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섭취허용량

따라서, 1인 가구가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식품첨가물은 인체에 위해 발생 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널리 알려진 식품첨가물로 단맛을 내는 감미료의 경우 연령별로 젊은층(19~49세)의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9~49세의 1인 가구가 65세 이상 연령층보다 수크랄로스 및 아세설팜칼륨을 약 3배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고(붙임 3), 대도시 지역 1인 가구가 그 외 지역보다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섭취량이 약 4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붙임 4)

참고로, 식약처는 국민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식품첨가물의 종류, 용도 등의 다양한 정보와 교육자료 등을 식품안전나라 누리집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 식품안전나라(foodsaftykorea.go.kr) > 알림‧교육 > 교육자료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첨가물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섭취 수준 평가 등을 지속 수행하여, 국민이 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4-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 ‘화물운송 실적신고제’ 업계 부담 줄여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44
157 소비자단체와 공동으로 민원 현장조사를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22
156 설 대비 식육 가공.포장처리업체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65
155 전국 최고의 착한가격업소에 충북 ‘메밀마당’ 등 4곳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614
154 365일 밤 23~24시까지 소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달빛 어린이병원”, 이용자의 95%가 “확대필요”, 복지부 ’15년 전국 20개소 공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322
153 소비자보호실무협의회가 금융회사 업무 관행을 개선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64
152 권익위, 2015이동신문고 국민권익 사각지대 해소에 앞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56
151 홍삼농축액 비교정보 생산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405
150 민간유사 정부앱 개발은 그만!, 민간이 서비스 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95
149 유방재건술 등 선별급여 적용 결정 및 중기 보장성 강화 계획 보고, 병원 간 협진 수가 시범적용 방안 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26
148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 계획 수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65
147 NEWSTAY 정책 및 취약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66
146 용도지역별 도로 확보율 기준 현실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11
145 눈·코 성형수술,‘비대칭’부작용 많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02
144 투자 권유절차 실태점검 및 감독방안 마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77
Board Pagination Prev 1 ...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