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어린이 체험활동이 증가하는 5월, 6월을 대비하여 어린이들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체험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예방수칙, 응급처치,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된 손상예방 가이드라인과 동영상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선제적으로 배포(4.5.)한다고 밝혔다.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은 손상 발생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실시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를 근거로 체험활동 및 야외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선별하여 제작되었다.

 1. 어린이 손상 발생 유형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따르면, 전체 손상 중 4-13세가 12.4%였다. 최근 5년간(’18년~’22년) 4세~13세의 어린이 손상은 4세가 18.8%로 가장 많았고, 5세(15.1%), 6세(12.3%)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비율은 남자(64.4%)가 여자(35.6%)보다 많았다(그림 1 참고). 

어린이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를 살펴보면,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21.3%)하였고, 7월(9.6%), 10월(9.2%) 순이었는데, 발생 계절에 상관없이 추락・낙상이 가장 많았다. 
평일보다는 주말(토요일 19.8%, 일요일 18.9%)에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오후 시간대(13-18시, 48.8%)에 많이 발생하였다

2. 집, 도로, 학교・교육시설에서 주로 발생

어린이 손상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장소는 집(49.6%)으로 나타났고, 도로(14.6%), 학교・교육시설(10.6%), 놀이시설(7.3%) 순이었다. 집에서는 주로 추락・낙상(34.5%)이 가장 많이 발생했고, 충돌 또는 부딪힘에 의한 손상인 둔상(31.5%), 베임이나 찢김 등과 같은 관통상(10.7%) 순이었다(그림3, 붙임1 참고). 

3. 일상생활 및 자전거 타기 등의 여가활동 중에 주로 발생

어린이 손상 당시 휴식, 식사 등과 같은 일상생활(56.2%)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다음으로 자전거 타기, 키즈카페 이용, 종이접기 등과 같은 여가활동(26.7%)과 학교 체육시간, 등하교 중과 같은 교육(7.5%)이 많았다(그림4 참고).

4. 어린이의 주요 손상기전은 추락·낙상

어린이에게 주로 발생하는 손상기전은 추락·낙상이 37.2%로 가장 많았고, 둔상 30.5%, 운수사고 9.1%, 관통상 7.9%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5 참고).

월별로 주로 발생하는 손상을 살펴보면, 다른 월에 비해 4월~7월, 9월~10월에는 운수사고가 증가하고, 5월~9월에는 익수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계절별 활동에 따라 손상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손상 예방교육은 장소별·계절별·활동별 손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기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붙임1 참고).

어린이 손상에서 진료결과는 입원이 5.7%, 사망이 0.1%였다. 입원을 유발하는 손상기전은 주로 추락·낙상(51.6%), 운수사고(19.7%), 둔상(13.1%) 순이었고, 사망을 유발하는 기전은 추락·낙상(41.3%) 운수사고(24.8%). 익수 또는 질식 등(15.7%)이 대부분이었다(그림6, 붙임1 참고).

5. 체험활동 중 손상 최근 3년새 14.7%p 증가

특히, 체험활동 중 발생하는 손상의 연도별 추이를 보면 ’18년 26.5%에서 ’20년 7.4%로 줄었다가 ’21년 13.2%, ’22년 22.1%로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이후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단체 및 외부활동의 제한이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체험활동 중 손상이 최근 증가하는 것은 이에 대한 인식개선 및 예방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그림 7 참고).

체험활동 중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로는 숲 체험 중 넘어지며 다치거나, 스포츠 체험 중 발목을 접질리고, 요리실습 중 화상, 농장체험 중 동물에게 물리는 등의 손상이 있었다. 

6. 질병관리청, 어린이 손상예방 가이드라인 및 교육 동영상 개발·배포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어린이 체험활동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손상별 예방수칙과 응급처치 지침, 시설 안전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동영상 교육자료를 제작하였다.

가이드라인은 물놀이 활동, 야외활동, 환경손상(온열질환, 벌레물림 등), 이동 중 운수사고에 대한 예방 및 응급처치 수칙과 시설 등의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담고 있으며, 어린이 교육용 동영상에는 교통사고 및 야외활동 손상예방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인식제고와 교육을 통해 충분히 예방가능하다. 특히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손상은 평생동안 장애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만큼 어린이들이 건강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사와 보호자가 예방수칙과 응급처치법, 체크리스트를 확인하는 등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최근 어린이 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제작된 가이드라인과 교육 동영상이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어린이 체험활동 전 준비사항과 응급처치 수칙이 포함된 손상예방 가이드라인 및 시설점검 체크 리스트, 그리고 어린이 손상예방 교육 동영상은 국가손상정보포털*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https://www.kdca.go.kr/injury) > 자료실> 수칙 및 지침

 ** 질병관리청 누리집 누리집(https://www.kdca.go.kr) > 홍보자료> 교육자료(가이드라인)

    질병관리청 누리집 누리집(https://www.kdca.go.kr) > 알림・자료> 영상자료(동영상)



[ 질병관리청 2024-04-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 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같은 은행에서 고정금리대출로 갈아타는 경우 중도상환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3 258
214 금감원 신고사례로 본 불법채권추심 유형과 적절한 대응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5 258
213 한국공항공사, 추석맞이 특별교통대책본부 운영(9.29~10.9)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6 258
212 ’24.5.2.(목)부터 한도제한계좌의 이체,ATM 거래한도가 3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2 258
211 자동차 혼유사고 관련 분쟁사례 및 운전자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7 259
210 끈에 의한 부상 위험있는 룰루레몬 여성용 상의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3 259
209 전국 모든 초·중·고 학교장.영양사 대상 식중독예방 특별교육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9 260
208 아동학대를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부모님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전한 어린이집을 만들겠습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60
207 위택스로 법인지방소득세를 편리하게 신고납부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260
206 행자부·지자체 협업해 도로명주소 민원 적극 해결 관리자 2015.01.16 261
205 농업손실 보상 시 임차농민 ‘도장값’ 피해 없앤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61
204 대한민국 전자정부, 동유럽 진출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7 261
203 ‘국민신문고 민원서비스’수준 전반적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8 262
202 조명기기, 직류전원장치 등 81개 전기용품 리콜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262
201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46.5%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1 263
Board Pagination Prev 1 ...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