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화장품의 해외직구가 증가*하고, 해외 온라인 플랫폼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가 해외 화장품을 구매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과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안내한다고 밝혔다.

    * 화장품 통관 현황: (‘20) 4,469건, (’21) 5,209건, (‘22) 6,289건 (관세청 발표) 
   ** 의학적 효능·효과 표방 허위·과대 광고, 허위 후기, 파손제품배송 등

첫째,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해외직구 사이트에서 화장품을 피부염 호전, 염증 완화, 지방분해 등 의학적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허위·과대광고하는 경우 이에 현혹되어 구매하면 안 된다.

    * (「화장품법」 제2조)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 (「약사법」 제2조제4호의 의약품에 해당하는 물품은 제외)

둘째, 국내에 같은 제품명을 가진 화장품이 있더라도 국가별로 사용금지 원료에 차이가 있어 제품의 성분·함량이 다를 수 있다. 만약 국내에서 사용을 금지한 성분이 들어있는지 궁금할 경우, 제품 공식 홈페이지 및 판매 홈페이지에서 원료명, 전성분 등을 확인한 후 검색*할 수 있다.

    * 의약품안전나라 ’화장품사용제한원료‘(https://nedrug.mfds.go.kr/pbp/CCBDF01)에서 확인 가능

또한 정식으로 수입되는 제품은 국내 화장품책임판매업자가 검사하여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고 있으나 해외직구 화장품은 별도의 검사 절차가 없다는 점도 구매 시 고려하는 것이 좋겠다.

    *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식약처 고시)에서 정한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

셋째, 제품 상세 설명서나 화장품 겉면 표시사항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붉은 반점, 부어오름, 가려움증 등의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이 있는 경우 전문의 등과 상담 ▲상처가 있는 부위에는 사용을 자제 ▲직사광선을 피해서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 등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는 것이 좋겠다.

만약 해외에서 화장품을 직접 구매한 후 피해가 발생하면, 한국소비자원에서 운영하는 ‘국제거래소비자포털(https://crossborder.kca.go.kr) > 상담신청’에서 상담을 신청할 수 있으며, ‘상담사례 > 화장품’에서는 피해사례도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우리 국민이 안전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건전한 화장품 사용문화를 조성하고, 해외직구 화장품으로부터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4-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91 핸들바 파손으로 낙상 위험 있는 자전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17.07.31
4190 핸들바 파손위험 있는 킥보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4 2017.04.27
4189 핸들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볼트EUV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5.22
4188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7.07.24
4187 해파리 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7.18
4186 해충방지 효과 없는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6 2020.02.13
4185 해외직구식품, 위해성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09.17
4184 해외직구를 통한 건강식품 소비자 구매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1
4183 해외직구 화장품에서 MIT(메칠이소치아졸리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9.11.14
4182 해외직구 시 사기의심 사이트 거래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2.01
4181 해외직구 배송대행 서비스‘미배송·배송지연’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4 2019.07.31
4180 해외주식 거래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08.22
4179 해외제조업소 현지실사 결과에 따른 필리핀 스낵과자 수입중단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4 2017.10.10
4178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 통신 장애 시 배상받기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03.06
4177 해외여행객 모기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8.07.18
4176 해외여행 전에 꼭 확인해요, 국가별 여행경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2.27
4175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25
4174 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2 2022.06.14
4173 해외여행 다녀오셨나요, 감염병이 의심되면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17.10.10
4172 해외식품 구매대행 안전하게 이용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8.04.2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