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화장품의 해외직구가 증가*하고, 해외 온라인 플랫폼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가 해외 화장품을 구매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과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안내한다고 밝혔다.

    * 화장품 통관 현황: (‘20) 4,469건, (’21) 5,209건, (‘22) 6,289건 (관세청 발표) 
   ** 의학적 효능·효과 표방 허위·과대 광고, 허위 후기, 파손제품배송 등

첫째,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해외직구 사이트에서 화장품을 피부염 호전, 염증 완화, 지방분해 등 의학적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허위·과대광고하는 경우 이에 현혹되어 구매하면 안 된다.

    * (「화장품법」 제2조)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 (「약사법」 제2조제4호의 의약품에 해당하는 물품은 제외)

둘째, 국내에 같은 제품명을 가진 화장품이 있더라도 국가별로 사용금지 원료에 차이가 있어 제품의 성분·함량이 다를 수 있다. 만약 국내에서 사용을 금지한 성분이 들어있는지 궁금할 경우, 제품 공식 홈페이지 및 판매 홈페이지에서 원료명, 전성분 등을 확인한 후 검색*할 수 있다.

    * 의약품안전나라 ’화장품사용제한원료‘(https://nedrug.mfds.go.kr/pbp/CCBDF01)에서 확인 가능

또한 정식으로 수입되는 제품은 국내 화장품책임판매업자가 검사하여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고 있으나 해외직구 화장품은 별도의 검사 절차가 없다는 점도 구매 시 고려하는 것이 좋겠다.

    *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식약처 고시)에서 정한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

셋째, 제품 상세 설명서나 화장품 겉면 표시사항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붉은 반점, 부어오름, 가려움증 등의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이 있는 경우 전문의 등과 상담 ▲상처가 있는 부위에는 사용을 자제 ▲직사광선을 피해서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 등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는 것이 좋겠다.

만약 해외에서 화장품을 직접 구매한 후 피해가 발생하면, 한국소비자원에서 운영하는 ‘국제거래소비자포털(https://crossborder.kca.go.kr) > 상담신청’에서 상담을 신청할 수 있으며, ‘상담사례 > 화장품’에서는 피해사례도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우리 국민이 안전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건전한 화장품 사용문화를 조성하고, 해외직구 화장품으로부터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4-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89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08
3788 추워지는 날씨, 전열기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1.17
3787 추워지는 날씨, 미끌미끌 빙판길 교통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12.09
3786 추워지는 날씨, 난방기구 사용 시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11.09
3785 추운겨울, 손발에 감각이 없고 덜덜덜 떨린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7.12.14
3784 추운 겨울철에도 퍼프린젠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2.01.19
3783 추운 겨울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5
3782 추석절, 예초기 사고와 벌쏘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8.24
3781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9.13
3780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7.09.28
3779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8.09.20
3778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7.09.25
3777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9.11
3776 추석연휴 기간 ‘철도역사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7.09.25
3775 추석, 교통사고와 화재 안전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9.25
3774 추석 택배, 소액결제 등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9.09.04
3773 추석 인사, 택배 등을 사칭한 스미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18.09.17
3772 추석 연휴기간, 안전벨트 착용 약속합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9.19
3771 추석 연휴기간 해외여행객 안전 조치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17.09.29
3770 추석 연휴, 주택화재 발생에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09.23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