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과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은 본격적인 야외 나들이가 시작되는 봄철을 맞이해,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유모차에 대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연도별 위해접수(건) : (’19년) 267건 → (’20년) 152건 → (’21년) 258건 → (’22년) 242건 → (’23년) 287건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유모차 사고 사례는 총 1,206건으로,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약 18.6%가 증가한 287건이 접수됐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 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유모차 안전사고, ’추락‘이 66.2%로 가장 많이 발생

안전사고 현황 분석 결과, 유모차에 탑승 중인 아이가 떨어지는 등 추락이 66.2%(798건), 정차 중인 유모차가 아이와 함께 미끄러지거나 넘어진 경우와 유모차 틈 사이(손잡이, 접힘부 등)로 보호자나 아이의 신체가 끼여 피부가 찢어지는 등의 눌림·끼임 사고가 각각 3.4%(41건)로 나타나 유모차 사용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유모차 사고로 인해 ’머리’와 ’얼굴‘에 상해 입는 사례가 가장 많아

위해 부위별로는 ‘머리·얼굴’에 상해를 입은 사례가 절반 이상인 69.7%(841건)였으며, 이어 ‘손·팔’ 4.2%(51건), ‘둔부·다리’ 1.2%(14건), ‘목·어깨’ 0.5%(6건) 등의 순이었다.

또한, 위해 증상에서는 추락·낙하하거나 신체 끼임이 많은 사고의 특성상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35.9%(433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뇌진탕 및 타박상’ 35.6%(429건),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3.5%(42건), ‘전신 손상’ 0.2%(2건) 순으로 나타났다. 

☐ 유모차 사용 전·후 보호자가 안전사용 수칙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소비자에게 ▲ 유모차를 조립할 때 주변을 확인해 보호자와 아이의 신체 끼임이 없도록 할 것, ▲ 영·유아 탑승 전 유모차 프레임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 탑승 후에는 아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안전벨트를 조여줄 것, ▲ 유모차가 멈춰있을 때도 반드시 보호자가 유모차를 잡고 있을 것, ▲ 영·유아가 탑승한 채로 계단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하지 말 것 등을 당부했다. 

또한, 양 기관은 안전한 유모차 사용을 위하여 ▲유모차 안전사고 예방 주의사항(붙임 3 참조) ▲ 사용 시 주의사항 등 안전 사용 수칙을 담은 홍보 포스터(붙임 4 참조)를 제작하고, 온라인에 배포함으로써 유모차 사용자들에게 사용상 주의를 당부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4-04-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13 안전 요건 미준수로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2.29
2512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11.15
2511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11.15
2510 안마의자, 영유아 끼임 사고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09.23
2509 안마의자, 고령자나 뼈 관련 질환자 등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8.04.25
2508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2.09
2507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2.02.09
2506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QPX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2.09
2505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nadalan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2.09
2504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EleksMaker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02.09
2503 안구 손상 위험 있는 Atomstack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2.13
2502 아플라톡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Baby Bellies 유아용 과자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1.20
2501 아플라톡신B1 오염돼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CLEARSPRING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4
2500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2499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8.02
2498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07.01
2497 아플라톡신 과다 검출된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4
2496 아플라톡신 검출된 SUKR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5.15
2495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2.25
2494 아프리카 코모로에 2단계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3.27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