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족구병 유행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재당부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의 생활화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 사지위약 등 마비증상을 보이는 경우 신속히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받기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최근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99개 의료기관 참여), 2016년 제24주(6.5∼11) 외래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의사환자수*가 35.9명(잠정치)으로 유행이 지속되고 있어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서의 개인위생 준수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 의사환자: 임상증상을 감안하여 수족구병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수족구병은 주로 영유아(0∼6세)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접촉성 감염병으로 제23주(5.29∼6.4) 30.6명에서 제24주(6.5∼11) 35.9명(잠정치)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수족구병 표본감시를 도입한 2009년 이후 최대 발생 수준이며, 6월까지는 지속 증가하여 8월까지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수족구병 최대발생규모 최대발생시기 >
년도외래환자1000명당 10명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시기최대발생규모최대발생시기
201022주(5.23∼5.29)12.8/1000명당24주(6.6∼6.12)
201120주(5. 8∼5.14)29.3/1000명당26주(6.19∼6.25)
201223주(6. 3∼6. 9)16.1/1000명당25주(6.17∼6.23)
201321주(5.19∼5.25)19.7/1000명당25주(6.16∼6.22)
201420주(5.11∼5.17)35.5/1000명당25주(6.15∼6.21)
201521주(5.17∼5.23)13.2/1000명당22주(5.24∼5.30)

※ 2009년 수족구병 표본감시 도입, 현재 99개 수족구병 표본감시기관을 통해 감시

<주별 수족구병의사환자 분율 현황 >

< 주별 수족구병의사환자 분율 현황 >
주(Week)15161718192021222324
발생분율*
(/1,000)
1.52.62.85.77.710.413.921.530.635.9

* 2013년 제36주부터 개편된 수족구병 표본감시체계를 통해 신고 된 자료로, 2016년 6월 기준 99개 표본감시기관이 참여

* 2013년 제36주부터 개편된 수족구병 표본감시체계를 통해 신고 된 자료로, 2016년 6월 기준 99개 표본감시기관이 참여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

수족구병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으로,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하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나,

일부에서 뇌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만일 수족구병이 감염된 영·유아가 수일 내에 사지위약(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늘어지면서 힘이 없는 증상) 등 급성 이완성 마비증상을 보이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5월 말「2016년 수족구병 관리지침」을 개발하여 지자체, 어린이집, 유치원 등 관련기관에 배포하였으며, 손씻기, 장난감 소독 철저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홍보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2016년 수족구병 관리지침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알림·정부3.0-자료-지침

**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확인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감염병관리→ 감염병감시→ 인플루엔자수족구병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17시 이후)

수족구병 예방수칙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의 생활화

    * 특히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청결(소독)히 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보건복지부 2016-06-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81 '은행권 계좌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 추진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4 145
2680 오늘(7.4)부터 새로운 펀드위험등급이 적용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4 86
2679 실내용전기용품 및 스포츠레저용품 38개 제품 리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1 257
2678 팜파트라 수퍼타투 아이브로우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1 165
2677 범퍼 긁힘 등 경미한 자동차사고는 복원수리비만 지급토록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1 418
2676 일부 미용업소 바가지 요금 근절 위해, 복지부가 나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103
2675 수족구병“유행지속”예방수칙 준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80
2674 어린이 안전사고,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119
2673 금융권도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129
2672 여름철,‘콘택트렌즈’안전하게 사용하여 눈 건강 지키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97
2671 2016년5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85
2670 해외직구 캐주얼 의류, 가격변동 빈번하고 변동폭 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140
2669 지난해 의약품 수출실적 5년내 가장 큰 폭으로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26
2668 삼계탕, 중국 첫 수출로 대륙입맛 공략에 나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90
2667 내년 건강보험료, 올해 수준으로 동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18
Board Pagination Prev 1 ...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