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3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결과] 1. 인구, 가구·가족 ㅇ (인구 변화) '23년 총인구는 5,171만 명, '72년 총인구는 3,622만 명으로 전망되며,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23년 18.2%에서 '72년 47.7%가 될 것으로 전망 ㅇ (가구 변화) '22년 전체 가구 수는 2,238만 가구로 전년보다 36만 가구 증가했고,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는 533만 가구로 전년보다 32만 가구 증가함 ㅇ(외국인 추이) '22년 장기체류외국인 수는 168.9만 명으로 전년보다 11.9만 명 증가함 ㅇ (출산) '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이며, 모의 연령대별로 보면 합계출산율은 30~34세, 35~39세, 25~29세 순으로 높음 2. 건강, 생활환경 ㅇ (기대수명) '22년 기대수명은 '00년(76.0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83.6년)보다 감소한 82.7년이고, '22년 건강수명은 65.8년으로 '20년(66.3년)보다 0.5년 감소함 ㅇ (사망률) '23년 인구 천 명당 사망자 수는 6.9명으로 전년(7.3명)보다 0.4명 감소했고, '22년 사망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로 인구 10만 명당 162.7명이 사망함 ㅇ (생활습관) '22년 19세 이상 인구의 현재 흡연율은 16.9%로 전년(18.2%)보다 1.3%p 감소하였고, '22년 음주율은 54.0%로 전년(53.5%)보다 0.5%p 증가함 3. 교육·훈련, 노동 ㅇ (교육기회) '23년 취학률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전년보다 감소, 초등학교와 고등교육기관에서 증가했으며, '23년 사교육 참여율은 78.5%로 전년보다 증가함 ㅇ (고용과 실업) '23년 고용률은 전년(62.1%)보다 0.5%p 상승한 62.6%로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실업률은 2.7%로 전년(2.9%)보다 0.2%p 하락함 ㅇ (근로여건 만족도) '23년 임금근로자 중 전반적 근로여건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35.1%이며, '17년 이후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를 보임 4. 소득·소비·자산, 여가 ㅇ (국민계정) '23년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236.3조 원으로 전년보다 3.4% 증가,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3,745달러로 전년보다 2.6% 증가함 ㅇ (가구소득 및 분배) '22년 가구의 연 평균소득은 6,762만 원으로 전년보다 292만 원 증가하였고, 지니계수는 0.324로 전년보다 0.005만큼 감소하였음 ㅇ (소비생활) '23년 가구 월 평균 소비지출액은 279.2만 원으로 전년(264.0만 원)보다 15.2만 원 증가했으며, 소비생활 만족도는 '13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임 ㅇ (여가활용) '23년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률(55.3%), 레저시설 이용률(69.1%), 국내(66.7%)·해외여행(15.1%) 경험 비율 모두 '21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함 5. 주거, 범죄·안전 ㅇ (주택보급) '22년 기준 인구 천 명당 주택 수는 430.2호로 전년(423.6호)보다 6.6호 증가하였으며, 주택보급률은 102.1%로 전년(102.2%)보다 0.1%p 하락하였음 ㅇ (주거지출) '22년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은 6.3배로 전년(6.7배)보다 0.4배p 감소, 월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은 16.0%로 전년(15.7%)보다 0.3%p 증가함 ㅇ (범죄현황) '22년 10만 명당 범죄 건수는 3,048건으로 전년보다 89건 증가했고, '20년의 사람들은 사기(9.4%), 폭행(9.2%) 순으로 두려움을 많이 느낌 6. 사회통합, 주관적 웰빙 ㅇ (사회갈등 인식) '23년 사람들이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보수와 진보'(82.9%), '빈곤층과 중상층'(76.1%), '근로자와 고용주'(68.9%) 순임 ㅇ (사회적 관계) '23년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답한 비중은 '21년보다 증가했으나, '외롭다'라고 느낀 비중은 18.5%로 전년보다 감소함 ㅇ (주관적 웰빙) '23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74.1%)과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68.4%)은 각각 전년보다 1.3%p, 4.2%p 감소함




[ 통계청 2024-03-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98 2023 고령자 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16
12397 2023 전국 지역 안전지수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11
12396 2023 통계로 보는 1인가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2 22
12395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16
» 2023 한국의 사회지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6 13
12393 2023-2024절기 겨울철 한랭질환자 전년대비 10.5%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20
12392 2023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9
12391 2023년 1/4분기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12
12390 2023년 1/4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8 16
12389 2023년 10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5 4
12388 2023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6 17
12387 2023년 11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3 23
12386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12385 2023년 12월 및 4분기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8 9
12384 2023년 1분기 다단계판매업자 등록변경사항 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8 14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