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해외에서 대마인 ‘에이치에이치시(HHC), 티에이치시피(THCP)’와 대마 유사 성분인 ‘에이치에이치시-오-아세테이트(HHC-O-acetate)’ 가 함유된 젤리‧사탕 등 제품 남용으로 인한 입원 환자가 급증했다는 위해정보에 따라, ‘에이치에이치시-오-아세테이트’를 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성분으로 새롭게 지정‧공고한다고 밝혔다.
* ‘HHC, THCP’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마약류관리법) 제2호제4호에 따른 ’대마’에 해당하며 ‘대마’는 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성분으로 기 지정(’23.6.12.)

이번에 지정된 ‘에이치에이치시-오-아세테이트’는 「마약류관리법」에 따라 임시마약류(2군)으로 지정되어 있고, 대마 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과 구조가 유사해 정신혼란, 신체적‧정신적 의존성을 유발하는 등 위해성이 높다.

* 임시마약류 : 현행 마약류가 아닌 물질 중 마약류 대용으로 오남용되거나 국민 보건에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물질을 3년 범위 안에서 ‘임시마약류’로 지정

식약처는 ‘에이치에이치시-오-아세테이트’, 대마 등을 함유한 직접구매 해외식품(이하 해외직구식품)에 대해서는 관세청에 통관보류를 요청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온라인 판매사이트 접속 차단을 요청하는 등 관계기관과 협업하여 국내로 반입되지 않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참고로 식약처는 해외직구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국민 건강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어 국내 반입차단이 필요한 해외직구식품의 원료‧성분(마약류, 의약‧한약 성분 등)을 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성분으로 지정*해오고 있다(‘HHC-O-acetate’ 포함 총 288종).

* 식약처는 2008년부터 해외직구식품에 국내 반입차단 원료·성분을 지정해오고 있음

위해한 해외식품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소비자가 위해 성분·원료를 식별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알기 쉽게 제품목록도 공개(3,427개, ’24.3.22.기준)하고 있어, 해외직구식품을 구매하기 전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해외직구식품 올바로*’에서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국내 반입이 제한된 해외직구식품에 대한 정보 상시 제공(①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에서 ‘해외직구식품 올바로’ 바로가기 / ②식품안전나라 〉 위해·예방 〉 해외직구정보 〉 해외직구식품 올바로)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에게 해외직구식품을 구매할 때 주의사항과 위해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mfds.go.kr > 알림 > 공지/공고 > 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3-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1 꽃차를 섭취하기 전에 먹을 수 있는 꽃인지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7 2020.11.23
4050 전기찜질기 7개 제품, 자발적 교환·환급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7 2017.01.24
4049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7 2016.06.29
4048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5 2016.06.23
4047 한 번의 클릭, 피해는 평생 갈 수 있습니다. -’17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3 2018.03.29
4046 이케아 말름(MALM) 등, 국가기술표준원에 시정 건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3 2016.07.07
4045 휴대전화發 불법도박 이미지스팸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1 2018.02.13
404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9.2.∼2016.9.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0 2016.09.12
4043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5.23~ 2016.05.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4 2016.09.07
4042 휴대폰 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3 2019.04.18
4041 KC인증 없이 유통된 일회용 핫팩 회수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3 2017.04.26
4040 사용 중 폭발한 미인증 쉐이빙폼 4개사 일괄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1 2017.02.09
4039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0 2017.05.29
4038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의 정상작동을 차단하는 센서캡 유통·판매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9 2017.07.18
4037 동충하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9 2017.01.26
4036 물티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8 2016.09.08
4035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6 2016.11.28
4034 Boosted Dua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중지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4 2017.06.02
4033 Little Tikes 브랜드, 유아용 그네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3 2017.04.19
403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1 2017.04.07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