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봄철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는 분들이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를 자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히스타민제’의 올바른 사용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알레르기성 비염: 꽃가루, 진드기, 동물의 털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인체 내 면역반응으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콧물, 재채기 등을 완화하는 데 사용하며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이 있다.

* 히스타민: 외부 자극에 대해 인체가 빠르게 방어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

일반의약품은 로라타딘,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펙소페나딘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고, 전문의약품은 데스로라타딘, 베포타스틴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재채기, 코막힘, 가려움, 눈 따가움) 등에 효능·효과가 있는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인 정제와 어린이를 위한 시럽제가 있다. 정제, 시럽제 모두 전신에 작용하므로, 복용 전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고 사용설명서를 꼼꼼히 읽는 것이 필요하다.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이다. 따라서 장거리 운전 시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예, 항우울제)이나 알코올 등과 함께 복용하면 졸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일부 종합 감기약에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중복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복용 전 성분을 확인하고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항히스타민제는 복용 후 심박동 이상, 염증, 위장장애, 소화불량, 갈증 등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과량 복용 시 중추신경 억제,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참고로 임신 중 혹은 수유 중인 부인, 6세 미만 소아는 복용하기 전 반드시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께서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사용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3-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3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7.∼2015.7.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5 2015.08.03
4232 테더앵커 균열로 인해 분리 위험 있는 유아용 카시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2 2016.08.09
423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8.∼2015.9.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9 2015.09.30
423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5.∼2016.1.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3 2016.01.25
422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1.∼2015.8.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0 2015.08.31
422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20~2015.11.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9 2015.11.30
422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0.23.∼2015.10.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8 2015.11.02
4226 설 명절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4 2016.01.27
4225 '16년 2분기 해외 리콜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3 2016.09.26
422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2016.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6 2016.01.11
4223 2015년 10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5 2016.03.30
4222 2015년 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5 2016.03.30
422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3.11~2016.3.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4 2016.03.23
422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1.∼2015.9.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1 2015.09.22
4219 기아자동차(주) 니로 차량 경고등 점등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0 2016.11.28
4218 이사업체 허가여부 확인하고, 계약서 꼼꼼히 작성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0 2016.09.09
4217 화재 위험 있는 LG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 무상수리 및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6 2017.02.08
421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6~2015.11.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3 2015.11.16
421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24.∼2015.7.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8 2015.08.03
4214 '자동차 안전벨트 경고음 차단 클립' 유통·판매 중지 권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7 2017.02.28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