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봄철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는 분들이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를 자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히스타민제’의 올바른 사용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알레르기성 비염: 꽃가루, 진드기, 동물의 털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인체 내 면역반응으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콧물, 재채기 등을 완화하는 데 사용하며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이 있다.

* 히스타민: 외부 자극에 대해 인체가 빠르게 방어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

일반의약품은 로라타딘,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펙소페나딘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고, 전문의약품은 데스로라타딘, 베포타스틴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재채기, 코막힘, 가려움, 눈 따가움) 등에 효능·효과가 있는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인 정제와 어린이를 위한 시럽제가 있다. 정제, 시럽제 모두 전신에 작용하므로, 복용 전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고 사용설명서를 꼼꼼히 읽는 것이 필요하다.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이다. 따라서 장거리 운전 시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예, 항우울제)이나 알코올 등과 함께 복용하면 졸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일부 종합 감기약에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중복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복용 전 성분을 확인하고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항히스타민제는 복용 후 심박동 이상, 염증, 위장장애, 소화불량, 갈증 등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과량 복용 시 중추신경 억제,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참고로 임신 중 혹은 수유 중인 부인, 6세 미만 소아는 복용하기 전 반드시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께서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사용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3-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3 톱날 가드가 없어 부상 위험있는 YS-810 예초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3
3912 톨루엔 안전기준 위반한 Zhanlida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4.04
3911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T8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3.04.20
3910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T-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3.04.18
3909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E8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8 2023.04.20
3908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E7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23.04.20
3907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E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23.04.20
3906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B-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23.04.20
3905 톨루엔 성분 과다 함유한 Zhanlida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3.04.06
3904 토양 균류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Rose de Marrakech 바디미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7
3903 테스터 화장품, 위생 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8.01.09
3902 테리종합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3.21
3901 테더앵커 균열로 인해 분리 위험 있는 유아용 카시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0 2016.08.09
3900 턱끈 결함으로 부상 위험 있는 CKX 헬멧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0.08.24
3899 터릿(Turret) 파손으로 익사 위험이 있는 XDEEP 스쿠버 레귤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4.07
3898 택배회사, 정부기관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3.03.22
3897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관련 소비자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9.11.21
3896 태국 유입 홍역발생 지속, 여행자 대상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10.21
3895 탑승자의 사고위험 있는 전기자전거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1 2017.04.07
3894 탈부착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Janod 과일 자르기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12.13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