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봄철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는 분들이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를 자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히스타민제’의 올바른 사용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알레르기성 비염: 꽃가루, 진드기, 동물의 털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인체 내 면역반응으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콧물, 재채기 등을 완화하는 데 사용하며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이 있다.

* 히스타민: 외부 자극에 대해 인체가 빠르게 방어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

일반의약품은 로라타딘,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펙소페나딘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고, 전문의약품은 데스로라타딘, 베포타스틴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재채기, 코막힘, 가려움, 눈 따가움) 등에 효능·효과가 있는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인 정제와 어린이를 위한 시럽제가 있다. 정제, 시럽제 모두 전신에 작용하므로, 복용 전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고 사용설명서를 꼼꼼히 읽는 것이 필요하다.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이다. 따라서 장거리 운전 시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예, 항우울제)이나 알코올 등과 함께 복용하면 졸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일부 종합 감기약에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중복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복용 전 성분을 확인하고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항히스타민제는 복용 후 심박동 이상, 염증, 위장장애, 소화불량, 갈증 등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과량 복용 시 중추신경 억제,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참고로 임신 중 혹은 수유 중인 부인, 6세 미만 소아는 복용하기 전 반드시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께서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사용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3-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53 2017년 3/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7.11.16
4252 2017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3 2017.05.02
4251 2017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1.22
4250 2017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8 2017.05.22
4249 2017년 5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7.07.19
4248 2017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09.18
4247 2017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7.09.18
4246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9.18
4245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3.27
4244 2018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5.30
4243 2018년 2/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07.25
4242 2018년 보이스피싱 피해액, 역대 최고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2.28
4241 2018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4.01
4240 2018년 유사수신 혐의업체 특징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8.04.09
4239 2018년 제 2차 생리대 VOCs 자율모니터링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9.03.11
4238 2018년 해외유입 콜레라 첫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8.07.04
4237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3.27
4236 2019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20.02.11
4235 2019년 상반기 달라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해외여행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28
4234 2019년 유사수신 신고,상담 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0.08.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