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온라인에서 탈모 예방‧치료 효과를 내세우는 제품의 유통이 많아짐에 따라 탈모 관련 식품, 의료제품 등을 구입‧사용할 때 주의사항에 대해 안내한다고 밝혔다. 

소비자는 온라인에서 식품, 의료제품 등을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광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약처로부터 인정받은 내용을 꼭 확인해야 한다.

❶ (식품 등)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식품, 건강기능식품 중 탈모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효능·효과를 인정받은 제품은 없다. 따라서 탈모와 관련하여 검증되지 않은 예방이나 치료 효과를 내세우는 광고에 주의해야 한다.

❷ (의약품) 탈모에 효과가 있는 의약품과 기능성화장품 정보는 ‘의약품안전나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탈모 치료가 필요한 경우 반드시 병원과 약국을 방문해 의사의 진료·처방과 약사의 조제·복약지도에 따라 정해진 용량·용법으로 의약품을 복용·사용해야 한다.

아울러 온라인에서 불법 유통되는 제품의 경우 기대한 효능·효과가 아닌 부작용 위험성이 우려되므로 구매하지 않아야 한다.

❸ (화장품) 식약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 등의 기능이 있는 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으로 정하고 있다. 이중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화장품이라도 탈모 증상을 완화할 뿐, ‘치료’ 효과나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 ‘양모·발모·육모’ 등은 검증된 바 없으므로, 과장해서 광고하는 제품은 절대로 구매하지 말아야 한다.

❹ (의료기기) 탈모에 효과가 있는 의료기기 정보는 ‘의료기기안심책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탈모 치료에 의료기기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식약처로부터 허가(인증/신고)된 의료기기를 구매‧사용해야 한다.

해외에서 탈모 예방‧치료를 내세우는 의료기기를 해외직구나 구매대행 방식으로 판매하는 것은 「의료기기법」 위반이며, 해당 제품은 식약처에서 허가(인증/신고)되어 정식으로 수입한 의료기기와 달리 성능이 검증되지 않았고 사용 시 안전사고 우려가 있으므로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물품별 정보 확인 누리집

■ 식품, 건강기능식품  :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
■ 의약품, 기능성화장품  :  의약품안전나라(https://nedrug.mfds.go.kr)→의약품등 정보검색
■ 의료기기  :  의료기기안심책방(https://emedi.mfds.go.kr/portal)→알기 쉬운 의료기기 검색 


아울러 식약처는 올해 2월 온라인쇼핑몰, SNS, 블로그, 중고마켓 등을 대상으로 탈모와 관련된 식품, 의료제품 온라인 게시물을 집중 점검하였다. 그 결과, 의약품 불법 판매 행위와 허위·과대‧부당광고 등 622건을 적발하여 접속 차단 조치하고 반복 위반업체의 경우 관할 행정기관에 행정처분을 요청하였다.


 적발 내용

(식품, 146건) 
 √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 광고) 탈모 예방, 탈모 방지, 탈모에 좋은, 출산 후 머리 빠짐에 효과 등 질병을 치료하는 
    효능·효과를 광고(144건)
 √ (식품 등을 의약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먹는 탈모약 등 의약품으로 오인·혼동하게 만드는 광고(2건)

(의약품, 300건)
 √ (불법 알선 광고) 해외 의약품의 구매대행 등 판매 알선 광고(296건)
 √ (불법 판매) 약국이 아닌 곳(중고거래 등)에서 의약품의 개인 간 거래(4건)

(화장품 96건)
 √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화장품의 효능·효과를 벗어난 ‘탈모 치료, 모발 증가’ 등 의약품 오인 광고(96건)

(의료기기, 80건)
 √ (불법 구매대행) 국내 허가받지 않은 의료기기의 해외 구매대행 광고 등(73건)
 √ (공산품을 의료기기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의료기기 아닌 공산품을 탈모 치료에 사용하는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7건)


적발된 광고는 ▲(식품)‘탈모 예방’, ‘탈모에 좋은’, ‘탈모약’ 등과 같이 치료 효과를 내세운 광고 ▲(의약품)탈모 치료용 의약품을 불법으로 판매하거나 알선한 광고 ▲(화장품)‘탈모 치료’, ‘탈모 예방’, ‘모발 증가’, ‘양모’, ‘두피염증 완화’ 등과 같이 의약품처럼 광고 ▲(의료기기)불법 해외 구매대행 또는 공산품을 의료기기처럼 광고한 사례 등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을 지속해서 안내하고 온라인상 허위‧과대‧부당광고 게시물 모니터링도 강화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3-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09 Good Buy Mall 스퀴시 완구, 유해물질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19.04.11
708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증가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19.11.11
707 투자설명회 등을 통해 주식거래를 유도하거나 다단계식 으로 투자 유치하는 사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0.11.23
706 삼성전자(주) 갤럭시 Z 플립, 액정보호필름 부착 서비스 제공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1.06.02
705 "놀이터 안전사고 매년 천 건 이상 발생, '여름'이 41.6%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2.06.22
704 Happy Plugs 무선 이어폰, 충전케이블 과열로 인한 화상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1 2019.11.04
70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1 2020.04.29
702 에어로졸 제품 사용 부주의시 화재·폭발 우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2 2016.12.21
701 Little Tikes 세발자전거, 유아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19.06.14
700 피셔프라이스(Fisher-Price) 아기 요람, 질식사고 발생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19.09.23
699 dellawang / 와썸컴퍼니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20.04.17
698 해외 여행사 ‘Travelgenio, Travel2be’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20.05.07
697 샴푸 제조·판매 사업자에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알레르기 유발물질) 사용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22.10.18
696 2017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7.05.16
695 2016년 9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3 2017.01.04
694 부품 탈락에 따른 질식사고 위험있는 Fiesta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7.06.02
693 유아용 목욕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8.12.04
692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20.05.21
691 2016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4 2017.01.04
690 gohimall / 고하이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4 2020.03.10
Board Pagination Prev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