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문자메시지·SNS·아르바이트 채용플랫폼 등을 통해 온라인쇼핑몰 부업‧공동구매 아르바이트를 모집한다며 입금 유도 후 이를 탈취하는 피해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피해접수액만 4억 3,900만 원에 달했는데 이는 전년 1,940만 원 대비 23배가량 증가한 금액이다. 

<온라인쇼핑몰 부업 유인 사기 피해 ’23년 피해 금액만 4억 3,900만 원에 달해>

□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온라인쇼핑몰 구매 후기 작성‧공동구매 등 부업 사기 피해 상담은 총 56건으로 전체 피해 금액은 4억 3,900만 원, 1인당 평균 피해 금액은 약 78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고물가, 고금리 등 영향으로 실질소득이 감소, 팍팍해진 주머니 사정 때문에 푼돈이라도 벌어 보려는 주부와 사회 초년생들이 부업이나 아르바이트에 관심이 커지면서 피해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이러한 온라인쇼핑몰 부업/공동구매 아르바이트 채용 담당자는 문자메시지·SNS·인터넷카페·아르바이트 채용플랫폼 등을 통해 장소에 상관없이 재택근무로 손쉽게 월 200~300만 원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다며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다.

□ 온라인쇼핑몰 부업/공동구매 사기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먼저, 자사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 활성화를 목적으로 자사 쇼핑몰에서 지원자들이 먼저 물품을 주문하고 돈을 입금한 뒤 구매 후기를 작성하면 결제액 환불과 수수료 제공을 약속하고 있다.

□ 두 번째는 대형 오픈마켓을 통해 들어오는 주문 건에 대해 중간 수익을 남기고 판매하기 위해 공동구매 형식으로 도매가에 상품을 대리구매 한다고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주문서 작성 및 입금을 완료하면 이에 대한 결제액 환불과 수수료를 제공한다는 방식이다.

□ 두 유형 모두 지원자의 돈으로 상품을 주문하면 결제금액에 비례해 약 10~15%의 수수료를 얻을 수 있다고 안내하고 기존 결제액, 수수료를 미지급하는 수법으로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이때, 초반에 먼저 지원자들에게 지원금을 지급하거나 초기 구매 건에 대해 수수료를 지급해 지원자들이 이를 신뢰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게끔 유도하고 있다.

  ○ 이외에도 아르바이트 지원자들이 함께 있는 단체 채팅방을 운영해 다른 지원자들이 미션 수행을 통해 실제 이익을 얻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도 한다. 이후 점점 금액이 큰 구매 건을 부여한 뒤 약속한 수수료는 물론 기존 결제액도 환급해주지 않아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는 방식이다.

□ 특히 지원자들이 상품 주문서를 작성하거나 구매 후기를 작성하도록 안내받은 온라인쇼핑몰은 전혀 관계없는 타 온라인쇼핑몰의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소재지 등의 사업자 정보를 도용해 표시하여 2차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 온라인쇼핑몰 부업 사기로 피해를 본 지원자들이 해당 온라인쇼핑몰에 표시된 사업자를 대상으로 수사기관에 신고하거나 온라인에서 피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도용당한 사업자들이 사기 범죄와 연루된 당사자로 오인되는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모르는 연락처로부터 재택근무로 손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광고 문자를 받거나 인터넷카페·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수익 후기를 공유하며 아르바이트를 권유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크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또한, 안내받은 온라인쇼핑몰 하단에 표시된 사업자등록번호를 확인하여 공정거래위원회 누리집(ftc.go.kr) ‘정보공개→통신판매사업자→등록현황’ 메뉴에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2024-03-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89 안전성조사결과 리콜명령대상 제품(38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4 2016.07.05
3988 IMUSA 커피메이커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3 2017.02.07
3987 카드뮴 및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een 팔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22.06.13
3986 휴가철 숙박, 여행, 항공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18.07.25
3985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6.13~ 2016.06.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8 2016.09.07
398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7.1.∼2016.7.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8 2016.07.11
398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6.17.∼2016.6.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7 2016.06.27
398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29∼2016.5.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7 2016.05.16
3981 제품에서 이취 발생한 ㈜팜스토리/홈앤쇼핑(주)‘브라질 넛’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6 2017.07.28
3980 2017년 1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6 2017.02.27
3979 휴가 절정기, 안전수칙 지켜 안전하게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5 2018.08.02
3978 페인트 붓 완구 Crea-Play, 니켈 다량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4 2018.07.19
3977 향초·인센스 스틱 사용시 실내 공기 오염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4 2018.01.26
3976 ㈜휠코치, KC마크 표시가 없는 에어랜더 Z11 전동킥보드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8.07.18
3975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11~ 2016.07.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2 2016.10.10
3974 아로마 에센셜 오일에서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1 2017.12.06
3973 2017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1 2017.05.22
397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6.3~2016.6.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1 2016.06.13
3971 선루프 배수 구멍 막힘으로 누수 현상 발생하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차량 무상점검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0 2023.01.12
3970 RASTAR 유아용 전기자동차, 납 성분 과량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9 2019.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