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무더운 날씨에 온열질환자 6월부터 발생하여 8월초 피크
- 야외작업자는 한낮 작업 피하고 자주 휴식, 충분한 수분 섭취 필요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안명옥)은 무더운 여름, 온열질환자가 증가하므로 건강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응급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를 겪게 된다. 온열질환 상태에서 방치할 경우 생명이 위태로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 열사병 : 중추신경 기능장애(의식장애/혼수상태),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40℃)
○ 지난 5년간(2011년~2015년)의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년 평균 1,128명의 온열질환자가 내원하고 이중 240명이 입원(21%), 96명은 중환자(8.5%)였으며, 7월 하순 ~ 8월초에 피크를 보이다가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소아와 노인은 발생빈도가 2배 이상 높아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와 노인에 대해서는 더운 날일수록 주변에서 더 많은 관심과 배려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질병관리본부는 5월 23일부터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3주 동안(6월 11일까지) 총 65명의 온열질환자가 신고 되었고, 이 중 실외에서 54명(83.1%)으로 실내보다 4.9배 많이 발생하였으며,
○ 지난 5년간의 온열질환감시 결과에 따르면 실외 발생이 평균 80%이었으며 이중 실외작업장에서 26.9%, 논·밭에서 17.4%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이와 같이 야외활동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①폭염이 집중되는 낮 시간대(12~17시)에는 장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②불가피하게 논·밭 혹은 건설업 등 야외근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자주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하며, ③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수분을 평소보다 많이 섭취해야한다고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①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옷을 벗겨 체온을 낮추고, ②의식이 있으면 전해질이 함유된 음료를 마시게 하며, ③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수액 치료를 받도록 하고
○ 체온이 40℃ 이상으로 높고 의식불명인 등 열사병이 의심되면 응급처치 후 병원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즉시 119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보건복지부 2016-06-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89 무료이용기간 후 자동결제 등 ‘다크 넛지’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0 14
6388 무료로 쉽게 듣는 ‘직장 내 갈등’(고용차별, 괴롭힘) 예방 교육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9
6387 무료 지하수 수질검사 서비스 신청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9 58
6386 무료 공영 주차장 장기 방치 차량, 강제 견인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1 20
6385 무료 개방하는 궁·능 방문하고, 무형유산 체험하며 즐기는 추석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9 9
6384 무등록.무신고 식품은 구매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6383 무등록 주류제조자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11
6382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감막걸리’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108
6381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1 73
6380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5
6379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6
6378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0
6377 무등록 제조 식품‘곤드레 바파다’등 4개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90
6376 무등록 제조 ‘즉석조리식품’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9 52
6375 무더위 지속, 폭염대비 건강수칙 준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1 80
Board Pagination Prev 1 ...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