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 이하 국민권익위)는 건설 공제부금을 적립하지 않았더라도 1년 이상 일용직 건설근로자로 근무한 사실이 확인되면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선정 시 가점 대상에 추가하도록 국토교통부에 권고했다.

□ 일용직 건설근로자로 상당 기간 근무해온 ㄱ씨는 ○○공사에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청약을 하면서 건설근로자 가점(3점)을 받기 위해 증빙자료로 “일용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신고 사실 통지서”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공사는 ㄱ씨가 건설근로자공제회에 공제부금을 적립한 기간이 40일에 불과하다는 이유로 가점 대상으로 인정하지 아니하였고, 결국 ㄱ씨는 서류심사에서 탈락하였다.

이에 ㄱ씨는 실제 일용직 건설근로자 근무기간은 가점 기준을 충족함에도 사업주가 공제부금을 적립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선정 시 차별을 받는 것은 부당하다며 국민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 국민권익위 조사 결과, 건설근로자 가점은 일용직 건설근로자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취지임에도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에서는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1년 이상 공제부금이 적립된 사람’만 가점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제부금의 의무 가입 대상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공사에 한정되어, 소규모 건설공사에 참여하는 근로자는 해당 사업주가 공제부금을 적립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 그 결과 건설공사 규모에 따라 공제부금 적립 여부가 달라지고, 일용직 건설근로자의 주거 불안 해소라는 가점의 취지가 무색하게, 건설근로자가 일한 건설공사 규모에 따라 공공임대주택 입주가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건설근로자 가점 제도 취지를 고려하여 근로복지공단이 발급하는 ‘일용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신고사실 통지서’ 등을 통해 건설근로자로 근무한 것이 객관적으로 증빙될 수 있다면 가점을 부여하도록 국토교통부에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 김태규 부위원장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입법취지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비합리적인 차별이 발생하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앞으로도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고, 주거 취약 계층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4-03-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1 “지인·이웃·직장동료에게 추석선물·식사접대 해도 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30 20
2760 “지역경제 살리기 위해 여름휴가는 국내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1 102
2759 “지방세 인터넷 신고·납부 대행 절차 간편해져” 납세자 편의 높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5 17
2758 “지방세 납부 고지 사실 휴대전화 문자로 안내받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5 20
2757 “증여세 중대·명백하게 잘못 부과했다면 기간 상관없이 환급해 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4 52
2756 “종이계약서는 옛말”…온라인·모바일로 부동산계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76
2755 “조상땅 찾기” 이제는 집에서 쉽고 편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1 20
2754 “제39회 근로자 가요제, 연극제”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4 62
2753 “제15호 태풍(고니) 피해, 이렇게 대비 하세요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5 96
2752 “정부혁신1번가와 친구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0 43
2751 “정부보조금 부정하게 받는 행위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1 16
2750 “전체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반드시 도입해달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82
2749 “전세사기 피해자 주거안정 지원 강화방안”을 알기 쉽게 설명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04 7
2748 “전세사기 피해자 주거안정 지원 강화방안”, 다시 한번 상세히 알려 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7 3
2747 “전동킥보드 음주운전도 운전면허가 취소 또는 정지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8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