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2023년 한 해 어린이 놀이시설 이용중 발생한 안전사고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택단지 내 놀이시설에서의 추락으로 인한 골절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과 같은법 시행령에 따라 놀이시설에서 중대한 사고* 발생시 관할 지자체 등(관리감독기관)으로부터 중요 사항을 보고받고 있으며, 사례 현황을 분석하여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지도·감독 등에 활용하고 있다.

   * 사망, 3명 이상의 부상, 7일이내 48시간 이상의 입원 치료, 골절상, 심한 출혈,  신경·근육·힘줄 손상, 2도 이상의 화상, 신체표면의 5% 이상인 부상 면적, 내장손상 등 9종 
 
 ○ 어린이놀이시설은 2023년 말 기준, 전국적으로 81,502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주택단지에 가장 많이 설치(53%)되어 있다.

 ○ 이번 분석은 성별·연령별·사고원인·손상유형뿐만 아니라 설치장소·사고기구·사고형태 등 다양한 항목의 위해요소로 세분화하여 이루어졌다.

□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을 살펴보면 시기적으로는 야외 활동이 많은 3~5월, 연령대별로는 활동량이 많은 초등학생(7~13세) 어린이이며, 기구별로는 조합놀이대*에서의 발생 비중이 높았다.

   * 2개 이상의 놀이기구가 결합된 형태

 ○ 사고 유형은 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추락(69.3%)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사고 원인의 대부분이 이용자 부주의(95.7%)로 나타남에 따라 행안부는 놀이시설 이용수칙 준수 및 지도·관리와 함께 어린이 보호를 위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도 중요함을 강조했다.
 
 ○ 이외에도 사고 장소는 주택단지와 학교에서의 비중이 높았으며, 시간대는 12~13시경과 13~14시에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행정안전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현장 지도 및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 전파하고, 놀이시설 사고가 빈발하는 장소와 유형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 지역 교육청과 함께 현장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 이용철 안전예방정책실장은 “놀이시설 대부분의 사고는 이용자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고 있으므로 놀이시설 이용 시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부모님 등 보호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 “정부는 중대한 사고 분석 결과를 안전사고 예방과 이용자 교육 등에 적극 활용하여 어린이가 안전한 놀이환경을 만들기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4-03-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9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1.∼2015.8.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9 2015.08.31
419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8.∼2015.9.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4 2015.09.30
419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7.∼2015.7.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1 2015.08.03
4190 설 명절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9 2016.01.27
418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20~2015.11.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8 2015.11.30
4188 (유)나이키코리아 신발끈 고리 무상수리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4 2016.06.27
418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3.11~2016.3.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81 2016.03.23
4186 이사업체 허가여부 확인하고, 계약서 꼼꼼히 작성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5 2016.09.09
418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5.∼2016.1.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4 2016.01.25
4184 기아자동차(주) 니로 차량 경고등 점등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3 2016.11.28
4183 World Famous Tattoo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1 2019.02.07
418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6~2015.11.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1 2015.11.16
418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1.∼2015.9.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1 2015.09.22
418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0.23.∼2015.10.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65 2015.11.02
4179 기아자동차㈜ K7 3.3 차량, 경고등 점등 현상으로 써모스탯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2 2018.02.07
4178 편의점 도시락, 안전기준에 적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6 2016.09.26
4177 상조 관련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6 2015.11.26
4176 '16년 2분기 해외 리콜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3 2016.09.26
4175 화재 위험 있는 LG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 무상수리 및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2 2017.02.08
417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2016.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1 2016.01.11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