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2023년 한 해 어린이 놀이시설 이용중 발생한 안전사고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택단지 내 놀이시설에서의 추락으로 인한 골절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과 같은법 시행령에 따라 놀이시설에서 중대한 사고* 발생시 관할 지자체 등(관리감독기관)으로부터 중요 사항을 보고받고 있으며, 사례 현황을 분석하여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지도·감독 등에 활용하고 있다.

   * 사망, 3명 이상의 부상, 7일이내 48시간 이상의 입원 치료, 골절상, 심한 출혈,  신경·근육·힘줄 손상, 2도 이상의 화상, 신체표면의 5% 이상인 부상 면적, 내장손상 등 9종 
 
 ○ 어린이놀이시설은 2023년 말 기준, 전국적으로 81,502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주택단지에 가장 많이 설치(53%)되어 있다.

 ○ 이번 분석은 성별·연령별·사고원인·손상유형뿐만 아니라 설치장소·사고기구·사고형태 등 다양한 항목의 위해요소로 세분화하여 이루어졌다.

□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을 살펴보면 시기적으로는 야외 활동이 많은 3~5월, 연령대별로는 활동량이 많은 초등학생(7~13세) 어린이이며, 기구별로는 조합놀이대*에서의 발생 비중이 높았다.

   * 2개 이상의 놀이기구가 결합된 형태

 ○ 사고 유형은 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추락(69.3%)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사고 원인의 대부분이 이용자 부주의(95.7%)로 나타남에 따라 행안부는 놀이시설 이용수칙 준수 및 지도·관리와 함께 어린이 보호를 위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도 중요함을 강조했다.
 
 ○ 이외에도 사고 장소는 주택단지와 학교에서의 비중이 높았으며, 시간대는 12~13시경과 13~14시에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행정안전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현장 지도 및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 전파하고, 놀이시설 사고가 빈발하는 장소와 유형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 지역 교육청과 함께 현장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 이용철 안전예방정책실장은 “놀이시설 대부분의 사고는 이용자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고 있으므로 놀이시설 이용 시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부모님 등 보호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 “정부는 중대한 사고 분석 결과를 안전사고 예방과 이용자 교육 등에 적극 활용하여 어린이가 안전한 놀이환경을 만들기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4-03-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73 해빙기 안전 - 주변 시설물 더욱 꼼꼼하게 점검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8.02.22
4172 항히스타민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4.03.20
4171 항생제는 감기약이 아닙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11.17
4170 항산화제 TBHQ 함유 가능성 있어 리콜된 Regent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12.07
4169 항공권 구매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8.02
4168 항.필.제.사., 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제대로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11.16
4167 핫팩 사용 시 저온 화상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8.12.05
4166 합성수지제로 코팅된 일부 아령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1.07.29
4165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0 2018.01.16
4164 합선으로 인한 과열 및 화재 위험 있는 공룡 모형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7.01
4163 할부금을 대신 갚아주겠다는 중고차 대출 금융사기를 주의하세요!,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1.05.11
4162 한파‧강풍특보에 따른 화재 주의하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8.12.07
4161 한성스포츠 사칭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6.13
4160 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설 연휴 취약계층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20.01.22
4159 한낮은 이미 여름,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0 2018.05.24
4158 한국휴텍스제약 제조 6개 품목 제조.판매 중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7.24
4157 한국지엠(주) 볼트 EV 차량 고전압 배터리 전원 차단 관련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6 2019.11.04
4156 한국지엠(주) 냉각수에 엔진오일 유입되는 라세티프리미어·크루즈 차량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98 2016.08.10
4155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위조 공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3.04.21
4154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0.09.0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