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기후위기 대응 실천방법으로 텀블러 사용이 늘어나 브랜드마다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에 서울YWCA(회장 조연신)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텀블러 13개 제품에 대해 주요 품질 및 성능(보온·보냉, 밀폐성, 안전성)과 사용 편의성, 환경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 결과, 보온·보냉 성능, 사용 편의성은 제품 형태별(준밀폐형, 밀폐형), 제품별 차이가 존재했다. 시험대상 제품 모두 안전성 및 표시기준을 준수하였으며, 스테인리스 제조 시 사용되는 연마제도 세척으로 제거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시험 결과>

□ (보온·보냉 성능) 밀폐형이 준밀폐형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해

텀블러 주요 성능인 보온·보냉 성능*은 13개 제품 중 ‘써모스(캐리 루프 텀블러)’가 가장 뛰어났다. 제품 유형별로는 완전밀폐되고 입구가 좁은 밀폐형이 준밀폐형보다 보온·보냉 성능은 상대적으로 좋았고, 제품 간 차이가 컸다(최대 17.3℃). 반면 준밀폐형은 입구가 넓고 음용구가 있어 보온 성능은 낮았지만, 제품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밀폐성능과 표면온도, 도장의 밀착성은 모두 관련 기준을 만족하였다.

    * 보온온도:  (95±1)℃ 온도에서 24시간 후 온도 측정
      보냉온도: (4±1)℃ 온도에서 24시간 후 온도 측정
  
□ (환경성) 텀블러와 일회용 컵 환경 영향 평가, 탄소배출량 최대 16.5배 

하루 1회 1년 사용 시 단계별 탄소배출량*을 계산해보면 텀블러** 대비 플라스틱컵은 16.5배, 종이컵은 12.9배의 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텀블러는 제조전 단계의 탄소배출량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일회용컵은 매번 새 컵 사용과 폐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탄소배출량은 늘어났다.

    * 제조, 사용, 폐기 전단계 탄소배출량
   ** 마개, 패킹, 몸체가 각각 폴리프로필렌(PP)과 고무, 스테인리스 소재인 텀블러 6종 평균 기준

□ (사용 편의성) 밀폐력·그립감 긍정적, 세척·휴대성은 만족도 낮아

밀폐력, 그립감, 결로현상, 휴대용이성, 세척용이성 등 5가지 사용 편의성에 대한 사용자 평가 결과, 밀폐력, 그립감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세척용이성과 휴대용이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적으로 밀폐형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세척용이성은 준밀폐형이 더 높았다.

    ※ 사용자 평가 결과: 밀폐력(4.0)>그립감(3.8)>결로현상(3.6)>휴대용이성(3.5)=세척용이성(3.5)

□ (안전성) 전 제품 안전성 기준 충족, 연마제는 세척으로 제거 가능해

마개, 패킹, 몸체 소재별 유해 물질 검출 여부, 표면 페인트 중금속 등 확인 결과 전 제품이 안전성 기준을 만족하였다. 스테인리스 제조 시 사용하는 연마제의 경우, 일부 제품에서 세척 전 연마제가 묻어나왔으나 세제와 식용유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에는 잔류하지 않았다. 

□ (표시 등) 전 제품 표시기준 준수, 입구 지름 등은 제품 특성 차이 있어

용량은 전 제품이 표시의 95% 이상으로 표시기준에 적합하였으며, 입구 지름은 ‘준밀폐형’(78~86㎜)이 ‘밀폐형’(50~66㎜)보다 넓어 얼음이나 음료를 담기에는 더 수월하였다. 입구가 가장 넓은 제품(글라스락 클립형 텀블러, 86mm)과 가장 좁은 제품(써모스 캐리 루프 텀블러, 50mm)의 차이는 약 1.7배였으며, 가장 무거운 제품(스탠리 고 진공 보틀, 346g)과 무게가 가장 가벼운 제품(써모스 캐리루프 텀블러, 236g)의 무게 차이는 약 1.5배였다. 

서울YWCA는 텀블러 제품 구매 전에는 제품의 유형에 따른 성능과 편의성 등을 꼼꼼히 비교한 후 구매하고, 구매 후에는 장기간 재사용하여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등 친환경 소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 공정거래위원회 2024-03-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70 통계로 국민안전 지킨다. “자연재해 통계지도” 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5 18
13669 신체활동 실천으로 마음 근육도 키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5 18
13668 ’24년 1분기 전국 지가 0.43%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5 15
13667 2024년 1분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등록 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5 16
13666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 ‘가격’이 가장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120
13665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11
13664 온라인 구매 1위는 식품, 10명 중 3명 주 2회 이상 쇼핑…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12
13663 전세사기피해자 결정신청, 25일부터 온라인으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11
13662 기아·현대·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8
13661 작년에 미리 냈더니 통지서가 안 나왔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7
13660 가정의 달 5월, 다양한 체험 놓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3 12
13659 자동차 잠깐! 여기는 사람이 먼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3 11
13658 배달앱 분야 자율규제 방안 이행점검 및 재검토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3 10
13657 24년 1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3 10
13656 방문판매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3 9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