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겨울철 실내 습도조절과 호흡기 질환 예방 등을 위해 가열식 가습기*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가열식 가습기 21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및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제품이 넘어졌을 때 뜨거운 물이 유출돼 화상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기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내보내는 방식의 가습기로, 살균효과가 있고 따듯한 가습이 가능함.

☐ 최근 4년간 가열식 가습기로 인한 화상사고 92건 중 77.2%가 영유아
  
최근 4년간(2020년~2023.10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가열식 가습기 관련 화상사례는 총 92건으로, 그중 77.2%(71건)가 만 6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 6세 이하 영유아에게 화상사고가 많은 것은 물을 끓여 수증기를 배출하는 가열식 가습기의 특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주변 사물을 밀거나 잡아당기는 등 호기심이 강한 영유아기가 있는 가정은 사용에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병원, 소방서 등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가열식 가습기로 인한 영유아 주요 화상 사례 ] 
▪(사례 1) 새벽 4~5시경 뜨거운 물로 사용하는 가습기를 잡아당겨 머리, 얼굴, 목 부분에 화상 입음(만 1세, 여).
▪(사례 2) 가습기 선을 건드려 식탁 위에 있던 가습기가 떨어지면서 뜨거운 물에 의해 우측 무릎과 발등에 화상 입음
             (만 2세, 남).

☐ 가습기 넘어짐을 가정한 시험에서 100℃의 뜨거운 물이 그대로 유출

실제 가열식 가습기 작동 중에 영유아가 밀거나 잡아당겨 가습기가 넘어졌을 때를 가정한 시험에서, 조사대상 전 제품(21개)이 전도 시 수증기 토출구를 통해 물이 유출됐다. 

특히, 내솥 전체를 가열하는 ‘밥솥형 제품’(21개 제품 중 17개)은 유출되는 물의 온도가 97℃~100℃로 매우 높았고, 이 중 1개 제품*은 전도 시 뚜껑이 열리면서 다량의 물이 쏟아져 심각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 전도 시 뚜겅이 열리는 제품은 총 4개로 이 중 3개는 물통 아래 작은 공간에서 물을 가열하는 구조의 가습기로 유출된 물의 온도는 22℃~34℃로 높지 않았고, 나머지 1개는 내솥 전체를 가열하는 밥솥형 가습기로 유출된 물의 온도가 99℃로 매우 높음.

☐ 수증기 온도는 최저 53℃ ~ 최고 100℃, 일부 제품 주의표시 등 미흡
  
가열식 가습기는 수증기 최고온도가 60℃를 초과한 경우 증기 배출구 근처에 주의사항을 명기해야 하고, 수동으로 물을 공급할 때 정격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위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21개 제품 중 2개 제품은 수증기 온도가 60℃를 초과함에도 주의표시가 미흡했고, 1개 제품은 수위표시가 되어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연번

제품명

미흡사항

전기가습기 개별 요구사항관련기준

1

블루필 몬톤(BMH501)

주의사항 영문 표시

· (7.6.) 수증기 최고온도 60초과 시 기호IEC 60471-

  5597 표시 또는 증기 배출구 근처에 주의사항 명

2

딥센(H5)

주의표시 위치 제품

전면부

3

여우살림 홈비즈

수위표시 미흡

· (7.1.) 수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기에는 수위표시 등

  정격용량 표시


☐ 영유아 화상 예방을 위해서는 가정 내에서도 세심한 주의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자에게 가습기가 넘어졌을 때 누수 저감 방안 마련 및 영유아 화상주의 표시를 강화하도록 권고했다*. 또한 판매 사업자가 지속적으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TV 홈쇼핑 사업자 정례협의체, 오픈마켓 사업자 자율 제품안전 협약 참여 업체 등에 가열식 가습기 안전성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다다앰엔씨(BBB 트리플블랙), 디바인 바이오(디디오랩), 이앤에스인터내셔널(르젠), 코리아빙(테르톤), 한국웰포트, 한일전기, 한샘, 홈니즈(보랄) 등 총 8개 사업자는 한국소비자원과의 간담회 이후 영유아 화상사고 예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제품의 품질 및 표시개선 계획 등을 회신함.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영유아 화상사고 예방을 위해 ▲가열식 가습기는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비치할 것, ▲콘센트 선 등이 영유아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제품이 쓰러지지 않도록 경사가 없는 평평한 곳에 설치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4-0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14 NHN페이코, 저축은행 67개 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7 44
2113 NEWSTAY 정책 및 취약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80
2112 MTN, '중복 가입 실손보험 100% 지급 소급적용' 보도 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149
2111 MS신용카드의 자동화기기 카드대출 제한 시행 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222
2110 MS신용카드의 자동화기기 카드대출 제한 시행 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101
2109 LTV-DTI 맞춤형 조정방안의 적용 기준일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46
2108 LPG트럭 구매 시 400만 원 지원…도심 미세먼지 해소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44
2107 LPG용기 재검사 더욱 깐깐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8 102
2106 LPG용기 색상변경으로 방치?미검사 용기 걸러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4 36
2105 LPG승용차 불법 사용자, 일제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86
2104 LPG 1톤 트럭 구매하면 최대 565만 원 혜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7 81
2103 LH 전관·독점 구조 척결, 부실시공 원천 차단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2 10
2102 LH 공공임대주택 운영실태 점검결과, 제도개선사항 다수 발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9
2101 LG전자㈜, 스마트폰 G2 자발적 무상 수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51
2100 LG전자㈜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사용 중지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0 36
Board Pagination Prev 1 ...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