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온라인 상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는 정제‧캡슐 형태의 당류가공품* 판매 게시물 280건에 대해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등 부당광고 여부를 집중 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138건을 적발하여 해당 플랫폼사에 게시물 접속 차단과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

    * 당류가공품(식품유형) : 설탕류, 포도당, 과당류, 엿류, 당시럽류, 올리고당류, 벌꿀류 등을 주원료로 하여 가공한 것을 말한다(다만, 따로 기준 및 규격이 정하여져 있는 것은 그 기준·규격에 의한다).

 최근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의 당류가공품을 피로회복 등에 기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처럼 광고하는 등 부당광고 사례가 잇따라 적발됨에 따라, 식약처는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올해 1월 점검을 실시했다.

 주요 적발 유형은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 유도 광고(55건, 39.9%) ▲거짓·과장 광고(40건, 29.0%)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오인‧혼동 유도 광고(21건, 15.2%) ▲소비자를 기만하는 광고(13건, 9.4%) ▲일반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혼동 유도 광고(9건, 6.5%)이다.

<적발 사례>
√ (건강기능식품 오인‧혼동) ‘피로회복’, ‘항산화’, ‘혈당조절’ 등 기능성이 있다고 광고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광고
√ (거짓‧과장) ‘혈관을 탄력 있고 부드럽게’, ‘저하된 생체기능 회복’ 등 신체조직의 기능·작용·효과·효능에 관하여 표현한 광고
√ (질병 예방‧치료 효능) ‘암’, ‘당뇨병’ 등으로 광고해 질병의 예방‧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 (소비자 기만) ‘슈퍼푸드’ 등 정의와 종류(범위)가 명확하지 않고 객관적·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른 제품보다 우수한 제품으로 소비자를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 (의약품 오인‧혼동) ‘링거’ 등 의약품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광고

이번 점검 결과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부당광고가 다수 적발된 만큼, 식약처는 소비자에게 온라인상에서 식약처로부터 기능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품에 표시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할 것을 당부했다.

구매전 제품 목록 확인 방법
√ (건강기능식품)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https://www.foodsafetykorea.go.kr) > 식품‧안전 > 건강기능식품 > 건강기능식품 검색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허위·과대광고 등 불법행위에 대해 집중점검을 실시하여, 온라인 상 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유통 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73 고효율인증제도 대폭개선, 제도의 실효성 높아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9 228
13572 수막구균 백신 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5 227
13571 식품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 여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27
13570 24개 사업자의 블로그를 통한 기만적 광고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27
13569 ‘소득계층·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구현’ 2015년 보건복지부 업무계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2 227
13568 농관원, 설 성수 농식품 부정유통 일제 단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9 227
13567 ◇ 국내 커피 시장 1조 6천억원, 5년간 92% 성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6 227
13566 지자체 지식재산권 이용하기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3 227
13565 소비자안전 사각지대 개선을 위한 사업 과제 대국민 공모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7 226
13564 「물류시설의개발및운영에관한법률」개정안 입법예고 관리자 2015.01.16 226
13563 스마트폰으로 주민이 직접 불법광고물 신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4 225
13562 감전 위험 있는 Nitecore 배터리 충전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225
13561 2014년 12월 소비자상담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5
13560 일본 방사능 안전관리 민간전문가위원회 제2차 현지조사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9 225
13559 ’24.5.2.(목)부터 한도제한계좌의 이체,ATM 거래한도가 3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2 224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