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최근 겨울철 인기 스포츠인 스키·스노보드 이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2021년 이후 증가 추세인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대부분이 넘어짐 사고
  
최근 5년간(2019~2023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는 총 1,234건이다. 스키장 폐쇄 등 코로나19의 영향에서 벗어난 2021년(111건) 이후 매년 증가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86.9%(206건) 상승한 443건이 접수됐다.
*연간접수현황(증감율):’19년108건→’20년335건(210.2%)→’21년111건(△66.9%)→’22년237건(113.5%)→’23년443건(86.9%)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접수 건(1,234건)에 대한 세부 원인을 살펴보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1,137건)가 전체의 92.1%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부딪힘 56건(4.5%),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13건(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2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해
  
각 품목에 따른 연령별 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 스키와 스노보드 모두 ‘2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세부적으로는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스키는 ‘20대’가 257건(37.4%), ‘10대’가 157건(22.9%), ‘30대’가 88건(12.8%), ‘40대’ 82건(1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노보드의 경우, ‘20대’ 256건(48.7%), ‘30대’ 124건(23.6%), ‘10대’가 99건(18.8%) 등의 순으로 주로(91.1%) 10~30대의 연령대에서 발생했다.

☐ 스키와 스노보드 안전사고 발생 시, 주요 부상 부위 차이 있어

스키와 스노보드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주로 부상을 입는 부위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활강 중 넘어지면 ‘스키’는 옆으로 ‘스노보드’는 앞이나 뒤로 넘어진다.

이 과정에서 ‘스키’는 하체를, ‘스노보드’는 상체를 중심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부상 부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키’를 타던 중 사고가 나면 ‘둔부, 다리 및 발’을 다치는 경우가 32.8%(224건)로가장 많았고, ‘팔 및 손’의 부상이 21.4%(146건), ‘머리 및 얼굴’ 부상이 20.1%(137건) 등이었다. 활강 중 다리가 꺾여 정강이뼈가 부러지거나, 넘어지며 땅을 짚다가 손목이 골절된 사례가 확인됐다.


반면, ‘스노우보드’는 ‘팔 및 손’이 40.5%(213건)로 가장 많았고, ‘머리 및 얼굴’ 25.5%(134건), ‘목 및 어깨’ 17.3%(91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슬로프에서 내려오던 중 앞으로 넘어져 아래팔이 골절되거나, 뒤로 넘어져 뇌진탕을 입은 사례 등이 접수됐다.


☐ 수준에 맞는 슬로프 선택과 장비 점검으로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어

스키·스노보드 사고의 대부분(92.1%)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이다. 따라서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하고 안전하게 넘어지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만으로도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스키나 스노보드의 특성상 스키 부츠와 바인딩 등 필수 장비의 유지·점검이 필요하다. 장기간 사용·보관한 스키 부츠는 소재 특성상 열화*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고, 사용 중 마모로 인해 바인딩과의 결속력이 떨어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기능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소재가 주로 사용되는 스키 부츠는 사용 연수가 경과됨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며, 열화의 진행 정도는 사용자의 관리나 보관하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 활강 전 방향 전환·속도 조절·넘어지는 방법 등의 기초 교육을 받을 것, ▲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할 것, ▲ 자신의 유형과 치수에 적절한 바인딩이 설정되었는지 점검할 것, ▲ 오래된 스키 부츠와 바인딩은 열화 상태를 확인하고, 중고 거래 시에는 열화가 진행된 노후 장비의 거래를 피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4-01-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13 살모넬라균 검출된 향신료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06.09
4112 헬스투데이(주) 디퓨저(코코도르, 헤리티지, 얼반), 어린이보호포장이 되지 않아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4 2018.06.20
4111 제주 한달살기 숙박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3 2018.12.26
4110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5.30~ 2016.06.0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2 2016.09.07
4109 외용기 코팅이 화장품에 혼입되어 부작용 발생하는 화장품 교환·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1 2016.11.30
4108 BARREL-O-SLIME 슬라임 장난감에 붕소 과량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0 2019.04.11
4107 세이펜, 고속충전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0 2016.12.13
410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14~2016.10.2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0 2016.10.24
4105 앞바퀴 분리 위험이 있는 유모차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0 2016.10.06
4104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9 2016.06.20
4103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7 2017.06.01
410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7 2016.06.10
4101 안전정보 표시를 누락한 Coleman 휴대용 버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5 2021.12.27
4100 온라인 판매 차량용 인조 가죽시트커버, 대부분 내인화성 없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4 2017.02.21
4099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3 2016.04.15
4098 낙하 위험 있는 Flos社 팬던트 조명 기구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1 2017.02.08
4097 스탠드 붕괴로 골절, 열상,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테이블톱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9 2017.06.02
4096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6.06~ 2016.06.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9 2016.09.07
4095 안전확인 표시를 하지 않은 한국잡월드 캐치볼 자발적 환급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9 2016.06.15
4094 맘스터치 매운양념치킨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8 2016.08.22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