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식품 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는 눈에 잘 보이게 표시하고 소비자 관심 생활정보는 큐알*(QR)에 담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식품표시 사업’을 올해 추진하기 위해 예산 105억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 푸드 QR : 식품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코드와 식품 표시, 안전 등 해당 식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담은 QR코드

최근 식품 표시 정보의 지속적 증가로 글자 크기가 작아져 소비자가 식품 안전 정보를 확인하는데 불편*이 발생함에 따라, 식약처는 식품표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국민에게 식품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식품 정보를 큐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올해 75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 소비자 인식조사(’22, 국민 소통단): 식품표시 불편 81%, 글자 크기 확대 필요 46.3% / 국민소통단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소속       12개 단체 실무진(사무총장급) 중심으로 단체 회원 1,000명 구성 
  ** 2024년~2026년(3년)의 사업기간 동안 총 273억원의 예산 편성

1. 안전 정보 표시를 강조하고, 영양성분 표시를 확대한다

제품명, 소비기한 등 중요한 정보는 포장지에 크고 잘 보이게 표시하고, 나머지 정보는 큐알(QR)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화*한다.
   * ’e-라벨을 활용한 식품표시 정보제공‘ 규제실증특례 시범사업(’22.9.~현재) 결과 반영

청소년, 임산부 등 건강 취약계층의 카페인 과다 섭취를 예방하기 위해 액체 식품에만 표시하던 ‘고카페인’ 주의 표시를 과라나*가 함유된 고체 식품까지 확대한다.
   *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아마존 밀림지대 등에서 자라는 열매로 씨앗에 카페인 성분이 들어 있음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만성질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영양성분 표시 대상을 일부 가공식품에서 모든 가공식품으로 확대하고, 매출액 기준으로 2026년부터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 영양학적 가치가 낮아 정보제공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일부 품목(추잉껌 등)은 제외

또한 소비자단체, 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식품표시 제도개선 민관협의체’를 1월부터 구성‧운영하여,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요구와 기대에 부합하는 식품표시 제도의 개편 방안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참고로 사용하지 않은 원재료에 대한 ‘무(free)’ 강조표시는 금지되어 있었으나, 알레르기 환자의 식품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작년에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해서는 ‘무(free)’ 강조표시를 허용**했다.
   *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등 22종
  ** 「식품등의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의 내용 기준」 개정‧시행(’23.12.28.)

소비자 관심 생활정보를 큐알(QR)에 담아 실시간 제공한다

식품에 표시된 큐알(QR)을 휴대폰 카메라로 비추는 것만으로 표시 정보부터 회수 여부 등 안전 정보까지 종합정보*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국민 일상생활 체감형 식품 정보서비스를 올해부터 구축**해 ’24년 11월에 최초 가동하며, 식품업체가 포장지에 푸드 큐알을 표시하는 경우 소비자는 해당 식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식품표시 ▲회수 등 안전정보 ▲원재료, 영양성분 등 건강정보 ▲조리법 등 생활정보 등
  ** 정보시스템 구축 : (’24)국내 제조식품용→(’25)수입식품용→(’26)농·축·수산물용

또한, 푸드 큐알(QR) 정보를 점자(인쇄용 파일), 아바타 수어영상, 음성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시각‧청각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도 강화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 표시제도를 지속적으로 정비해 국민의 건강과 선택권을 보호하고, 누구나 편리하게 식품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관리 체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8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방문검침원 등 가구방문서비스 제공기관으로 확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3 13
2227 국민 80.8%, 나이 확인 관련 “억울하게 피해 보는 사업자 부담 완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13
2226 유명브랜드 운동화 해외구매대행 쇼핑몰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9 13
2225 폴리염화비페닐 인체 노출수준, 위해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8 13
2224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청년의 든든한 출발을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13
2223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영세 소상공인 중심으로 바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2 13
2222 2023년 민간해외취업알선기관 선정,구직자에게 다양한 해외 구인처 정보 제공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2 13
2221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13
2220 1월 22일부터 우회전 신호등이 있으면, ‘녹색화살표’ 신호에만 우회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13
2219 프라이팬의 핵심 성능인 코팅 내구성, 제품 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7 13
2218 “5인 이상 사업장까지 채용절차법 적용 확대해야” 구직 청년 권익보호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7 13
2217 가뭄 극복을 위해 ‘먹는 물’을 기부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6 13
2216 [금융꿀팁 200선] 연금수령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6 13
2215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책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6 13
2214 물품형 모바일 상품권, 절반 이상이 유효기간 3개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