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3-2024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23.12.1.~’24.1.13.), 총 203명의 한랭질환자가 신고되었다고 밝혔다. 

  * 한랭질환 :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


  ’23.12.1.~’24.1.13. 기간 중 신고된 한랭질환자 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9.8% 감소하였다. 신고 환자 중 48.8%는 65세 이상 고령층이었고, 저체온증이 79.3%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73.9%가 실외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장소인 산, 강가/해변, 스키장 등에서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20.3%로 야외활동시 한랭질환에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 2022-2023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결과에서 살펴본 결과도 야외활동 장소에서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21.9%였다. 야외활동 중에는 국소성 한랭질환인 동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동상 환자의 53.7%가 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1월에 야외활동 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동상 환자의 40.0%가 10~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20대는 야외활동이 가장 왕성한 연령층으로 겨울 레포츠를 즐기기 위해 스키장이나 겨울산을 찾는 경우가 많아 각별히 유의가 필요하다.


야외활동으로 한랭질환이 발생한 사람들의 발생시간대를 살펴보면 주로 오전(6~9시)이 많아 이른 아침 야외활동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둡고 추운 겨울철 새벽에 야외활동을 하면 안전사고 위험과 함께 한랭질환의 발생 위험이 커지므로 이른 아침 야외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고, 한낮에 하더라도 야외활동을 시작하기 전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여 추운 날씨 탓에 긴장한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야외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한랭질환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야외활동을 할 때는 두껍고 꽉 끼는 옷을 입는 것보다 가볍고 방풍 기능이 있는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도움이 된다. 특히 땀에 젖은 옷, 젖은 장갑, 양말 등을 오래 입고 있는 것이 위험하기 때문에 작은 가방에 마른 옷 등을 챙기면 젖었을 경우 갈아입을 수 있어 저체온증과 동상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귀까지 덮을 수 있는 모자와 목도리, 장갑 등은 체열 손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한랭질환은 사전에 적절한 조치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야외활동 건강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며, 특히 “한파가 계속되는 겨울철에는 등산이나 스키타기 등 야외활동을 할 경우 날씨정보를 확인하고 준비운동을 충분히 한 후 보온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 겨울철 야외활동 주의사항 >


▶ 야외활동 전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 야외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 이른 아침을 피하고 운동을 시작하기 전 준비운동을 충분히 합니다. 

▶ 야외활동 시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해 줍니다. 추운 날씨에 옷과 신발이 젖었을 때에는 신속히 마른 옷과 신발로 교체합니다. 

▶ 야외활동 시 핫팩을 소지하고, 따뜻한 물을 챙깁니다.




[ 질병관리청 2024-01-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11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Akai Bohshi 쿠키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3.11.20
4210 배터리 단락 위험 있는 Aiper 수영장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3.12.18
4209 질식 위험이 있는 Make Believe Ideas 보드북 (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3.12.18
4208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맑은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3.12.19
4207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가 함유된 Funny-frisch 프레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3.12.19
4206 불완전 장착 가능성 있는 Salomon Summit 9 BR 스키바인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3.12.21
4205 사용 중 패드가 분리되는 SwissStop 자전거 브레이크 패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4
4204 단락 발생 위험 있는 Nuby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5
4203 포장 결함으로 인해 곰팡이 발생 가능성이 있는 이치란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8
4202 겉감 발수 처리가 미흡한 Goldwin 아웃도어 팬츠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8
4201 감전 위험있는 Tumakou 고주파 미용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2.15
4200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EMS 힙 트레이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2.16
4199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보풀 제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27
4198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ed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01
4197 비타민 D가 과도하게 함유된 Nordic Naturals 영아용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01
4196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03
4195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03
4194 제조 품질이 불량한 CAO MM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03
4193 리딩방 로또 환불을 빙자한 코인 매수 제안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11
4192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는 Nanosupps 단백질 보충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1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