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소비자경보 발령 배경

□ 최근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이 아파트 주택담보대출로까지 확대되었고, 금융권도 대출 지원 등 다양한 상생금융 방안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23년도 대환대출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 비중도 전년 대비 크게 상승*
     * 대환대출 사칭 피해 건수 비중(계좌이체형 기준) : (’22년) 4.7% → (’23년) 12.5%(잠정)

 ◦사기범이 정부기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환대출, 정부지원 정책대출 등을 미끼로 피해자로부터 금전을 편취할 우려


2 구체적인 사기 수법

□ (대환대출) 사기범들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피해자에게 저금리 대환대출이 가능하다며 기존 대출의 상환을 유도하거나,

 ◦기존 대출이 있는 상황에서 대환대출을 신청하는 것은 계약 위반이라며 피해자를 기망・공갈하여 피해금을 편취

- 대환대출을 빙자한 사례 -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5~6% 금리로 4,400만원까지 대환대출이 가능하나, 

 ◦기존 △△캐피탈 대출건을 먼저 상환해야 대환대출이 가능하다며 피해자를 기망하여 기존 대출금 상환 명목으로 995만원을 편취하였음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6%대 저금리대출이 가능하다며 대환대출 신청서 작성을 유도하였음 

 ◦피해자가 작성한 대출 신청서상 정보를 토대로 피해자가 ▣▣카드사로부터 받은 카드론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사기범은 ▣▣카드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환대출로 카드론을 상환하는 것을 약정 위반이며,

 ◦채권추심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기존 카드론 상환이 필요하다며 피해자로부터 총 4회에 걸쳐 21백만원을 편취하였음 


□ (정책대출) 사기범들은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하다며 신용등급 상향을 위해서는 예치금 입금이 필요하다고 기망하여 피해금을 편취

- 정책대출을 빙자한 사례 -

◈◉◉캐피탈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2억원까지 전세자금대출을 해줄 수 있다며 피해자를 전화로 기망하였고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예치금 입금이 필요하다며 총 4회에 걸쳐 7,400만원을 편취하였음


3 소비자 행동 요령

□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무조건 거절하세요

 ◦ 정부기관 및 제도권 금융회사는 전화‧문자를 통한 광고, 개인정보 제공, 자금 송금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음

   ※ 금융회사가 기존 대출 고객을 대상으로 만기연장 등 대출관련 정보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는 있으나, 불특정 다수에게 대출 안내‧광고 문자를 무작위로 발송하지는 않음

□ 정부지원 대출 가능 여부는 제도권 금융회사에 직접 문의하세요

 ◦ 대출을 빙자한 개인정보 요구, 기존대출 상환 및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자금 이체 요구는 보이스피싱으로 의심

□ 금융사기 피해 발생시 신속히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지급정지) 금융회사 콜센터 또는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112)에 전화하여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

 ◦(개인정보 노출 등록) 개인정보 유출시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의 ꡔ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 시스템*ꡕ을 활용
     * 신청인이 직접 개인정보를 등록하면 신규 계좌개설, 신용카드 발급 등이 제한됨

 ◦(내계좌 한눈에) ꡔ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www.payinfo.or.kr)ꡕ를 활용하여 본인 모르게 개설된 계좌 또는 대출을 한눈에 확인

 ◦(휴대폰 가입현황 조회 및 제한)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을 조회하거나 추가 개통을 차단하기 위해 ꡔ명의도용 방지서비스(www.msafer.or.kr)ꡕ 이용 


[ 금융감독원 2024-0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91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5.30~ 2016.06.0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0 2016.09.07
4090 BARREL-O-SLIME 슬라임 장난감에 붕소 과량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8 2019.04.11
4089 플러그 위험부위가 노출되는 LED 충전식 라이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8 2017.04.19
4088 앞바퀴 분리 위험이 있는 유모차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7 2016.10.06
408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14~2016.10.2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10.24
4086 살모넬라균 검출된 향신료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06.09
4085 스탠드 붕괴로 골절, 열상,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테이블톱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2 2017.06.02
4084 외용기 코팅이 화장품에 혼입되어 부작용 발생하는 화장품 교환·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0 2016.11.30
4083 헬스투데이(주) 디퓨저(코코도르, 헤리티지, 얼반), 어린이보호포장이 되지 않아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9 2018.06.20
4082 맘스터치 매운양념치킨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6 2016.08.22
4081 상품권 매입 사이트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3 2020.12.02
408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초콜렛 케이크 과자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2 2017.03.06
4079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0 2017.06.01
4078 온라인 판매 차량용 인조 가죽시트커버, 대부분 내인화성 없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0 2017.02.21
4077 안전정보 표시를 누락한 Coleman 휴대용 버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7 2021.12.27
4076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7 2016.11.30
4075 낙하 위험 있는 Flos社 팬던트 조명 기구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5 2017.02.08
4074 안전확인 표시를 하지 않은 한국잡월드 캐치볼 자발적 환급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5 2016.06.15
4073 세이펜, 고속충전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4 2016.12.13
407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3 2016.06.1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