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소비자경보 발령 배경

□ 최근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이 아파트 주택담보대출로까지 확대되었고, 금융권도 대출 지원 등 다양한 상생금융 방안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23년도 대환대출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 비중도 전년 대비 크게 상승*
     * 대환대출 사칭 피해 건수 비중(계좌이체형 기준) : (’22년) 4.7% → (’23년) 12.5%(잠정)

 ◦사기범이 정부기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환대출, 정부지원 정책대출 등을 미끼로 피해자로부터 금전을 편취할 우려


2 구체적인 사기 수법

□ (대환대출) 사기범들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피해자에게 저금리 대환대출이 가능하다며 기존 대출의 상환을 유도하거나,

 ◦기존 대출이 있는 상황에서 대환대출을 신청하는 것은 계약 위반이라며 피해자를 기망・공갈하여 피해금을 편취

- 대환대출을 빙자한 사례 -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5~6% 금리로 4,400만원까지 대환대출이 가능하나, 

 ◦기존 △△캐피탈 대출건을 먼저 상환해야 대환대출이 가능하다며 피해자를 기망하여 기존 대출금 상환 명목으로 995만원을 편취하였음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6%대 저금리대출이 가능하다며 대환대출 신청서 작성을 유도하였음 

 ◦피해자가 작성한 대출 신청서상 정보를 토대로 피해자가 ▣▣카드사로부터 받은 카드론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사기범은 ▣▣카드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환대출로 카드론을 상환하는 것을 약정 위반이며,

 ◦채권추심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기존 카드론 상환이 필요하다며 피해자로부터 총 4회에 걸쳐 21백만원을 편취하였음 


□ (정책대출) 사기범들은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하다며 신용등급 상향을 위해서는 예치금 입금이 필요하다고 기망하여 피해금을 편취

- 정책대출을 빙자한 사례 -

◈◉◉캐피탈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2억원까지 전세자금대출을 해줄 수 있다며 피해자를 전화로 기망하였고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예치금 입금이 필요하다며 총 4회에 걸쳐 7,400만원을 편취하였음


3 소비자 행동 요령

□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무조건 거절하세요

 ◦ 정부기관 및 제도권 금융회사는 전화‧문자를 통한 광고, 개인정보 제공, 자금 송금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음

   ※ 금융회사가 기존 대출 고객을 대상으로 만기연장 등 대출관련 정보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는 있으나, 불특정 다수에게 대출 안내‧광고 문자를 무작위로 발송하지는 않음

□ 정부지원 대출 가능 여부는 제도권 금융회사에 직접 문의하세요

 ◦ 대출을 빙자한 개인정보 요구, 기존대출 상환 및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자금 이체 요구는 보이스피싱으로 의심

□ 금융사기 피해 발생시 신속히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지급정지) 금융회사 콜센터 또는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112)에 전화하여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

 ◦(개인정보 노출 등록) 개인정보 유출시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의 ꡔ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 시스템*ꡕ을 활용
     * 신청인이 직접 개인정보를 등록하면 신규 계좌개설, 신용카드 발급 등이 제한됨

 ◦(내계좌 한눈에) ꡔ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www.payinfo.or.kr)ꡕ를 활용하여 본인 모르게 개설된 계좌 또는 대출을 한눈에 확인

 ◦(휴대폰 가입현황 조회 및 제한)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을 조회하거나 추가 개통을 차단하기 위해 ꡔ명의도용 방지서비스(www.msafer.or.kr)ꡕ 이용 


[ 금융감독원 2024-0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00 과도한 농도의 유해물질 함유된 손가락 물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13
3499 납으로 때운 부위에 납이 과도하게 함유된 IPL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13
3498 '재택근무로 손쉽게 고수익'… 온라인몰 부업 사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14
3497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15
3496 반사율 미흡해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AFAIK 안전 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15
3495 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아 익사 위험 있는 NEWAO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21
3494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03
3493 표면온도 기준치 초과한 발열조끼 자발적 리콜(환불)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03
3492 “유명인·가족 등 사칭, 절대 돈 보내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11
3491 어린이가 액체를 섭취할 위험이 있는 Tickit 액상형 모래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16
349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7.14
3489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8.23
3488 식품첨가제(식용색소, 산화방지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씨리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27
3487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30
3486 포장 비닐 얇아 질식 위험 있는문어 태엽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10.18
3485 포장 오류로 라벨 미표기(설탕) 성분 함유한 Vimto 주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12.13
3484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12.15
3483 검사·검찰수사관 사칭 전화금융사기 증가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1.06
3482 작은 부품으로 질식 위험을 초래하는 Calico Critters 인형 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4.24
3481 제조결함으로 인한 화재 우려로 리콜된 Kemey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