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소비자경보 발령 배경

□ 최근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이 아파트 주택담보대출로까지 확대되었고, 금융권도 대출 지원 등 다양한 상생금융 방안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23년도 대환대출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 비중도 전년 대비 크게 상승*
     * 대환대출 사칭 피해 건수 비중(계좌이체형 기준) : (’22년) 4.7% → (’23년) 12.5%(잠정)

 ◦사기범이 정부기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환대출, 정부지원 정책대출 등을 미끼로 피해자로부터 금전을 편취할 우려


2 구체적인 사기 수법

□ (대환대출) 사기범들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피해자에게 저금리 대환대출이 가능하다며 기존 대출의 상환을 유도하거나,

 ◦기존 대출이 있는 상황에서 대환대출을 신청하는 것은 계약 위반이라며 피해자를 기망・공갈하여 피해금을 편취

- 대환대출을 빙자한 사례 -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5~6% 금리로 4,400만원까지 대환대출이 가능하나, 

 ◦기존 △△캐피탈 대출건을 먼저 상환해야 대환대출이 가능하다며 피해자를 기망하여 기존 대출금 상환 명목으로 995만원을 편취하였음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6%대 저금리대출이 가능하다며 대환대출 신청서 작성을 유도하였음 

 ◦피해자가 작성한 대출 신청서상 정보를 토대로 피해자가 ▣▣카드사로부터 받은 카드론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사기범은 ▣▣카드사 직원을 사칭하여 대환대출로 카드론을 상환하는 것을 약정 위반이며,

 ◦채권추심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기존 카드론 상환이 필요하다며 피해자로부터 총 4회에 걸쳐 21백만원을 편취하였음 


□ (정책대출) 사기범들은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하다며 신용등급 상향을 위해서는 예치금 입금이 필요하다고 기망하여 피해금을 편취

- 정책대출을 빙자한 사례 -

◈◉◉캐피탈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2억원까지 전세자금대출을 해줄 수 있다며 피해자를 전화로 기망하였고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예치금 입금이 필요하다며 총 4회에 걸쳐 7,400만원을 편취하였음


3 소비자 행동 요령

□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무조건 거절하세요

 ◦ 정부기관 및 제도권 금융회사는 전화‧문자를 통한 광고, 개인정보 제공, 자금 송금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음

   ※ 금융회사가 기존 대출 고객을 대상으로 만기연장 등 대출관련 정보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는 있으나, 불특정 다수에게 대출 안내‧광고 문자를 무작위로 발송하지는 않음

□ 정부지원 대출 가능 여부는 제도권 금융회사에 직접 문의하세요

 ◦ 대출을 빙자한 개인정보 요구, 기존대출 상환 및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자금 이체 요구는 보이스피싱으로 의심

□ 금융사기 피해 발생시 신속히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지급정지) 금융회사 콜센터 또는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112)에 전화하여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

 ◦(개인정보 노출 등록) 개인정보 유출시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의 ꡔ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 시스템*ꡕ을 활용
     * 신청인이 직접 개인정보를 등록하면 신규 계좌개설, 신용카드 발급 등이 제한됨

 ◦(내계좌 한눈에) ꡔ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www.payinfo.or.kr)ꡕ를 활용하여 본인 모르게 개설된 계좌 또는 대출을 한눈에 확인

 ◦(휴대폰 가입현황 조회 및 제한)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을 조회하거나 추가 개통을 차단하기 위해 ꡔ명의도용 방지서비스(www.msafer.or.kr)ꡕ 이용 


[ 금융감독원 2024-0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13 Dazzling White 치아미백제, 고농도 과산화수소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7 2019.03.12
4112 DEHP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 건강 위험있는 튜브형 피크닉 테이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2.04.04
4111 DEHP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계 건강 위험있는 피규어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5.04
4110 Del Monte 통조림 옥수수, 세균 감염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02.07
4109 dellawang / 와썸컴퍼니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20.04.17
4108 Delta 유모차(Cross-Country All-Terrain Jogging Stroller), 낙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17.12.06
4107 Dewalt 전기 드릴, 사용 중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19.03.12
4106 Dibella 비스킷, 알레르기 유발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9.03.12
4105 DIBP 과다 함유한 Bestway 물놀이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9.28
4104 Difrax 노리개 젖꼭지 줄, 아기가 충전재를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2.06
4103 Dingxu’s store 스퀴시 완구, 유해물질 함유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3.12
4102 Discoveroo 블록완구, 영·유아가 삼킬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3.21
4101 Disney 색연필에 납 성분이 과다 함유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3.21
4100 Disney 아동용 액세서리, 허용치 넘는 납 함유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3 2018.04.12
4099 Disneyland 봉제인형, 규정치 이상의 화학물질 검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9.03.12
4098 dmBio 렌틸콩 스튜 통조림(Linseneintopf)에 플라스틱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7.12.26
4097 Dorset Cereals 그래놀라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0 2019.09.23
4096 DPF재생시 엔진 부조화 현상 발생하는 현대자동차(주) 스타리아 차량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2.05.02
4095 Duncan Hines 케이크 믹스,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11
4094 Dynamic 문신잉크(Black)에 발암성분이 포함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