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ㄱ씨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안전디딤돌」앱에서 희망지역의 재난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부모님이 계신 고향지역을 수신지역으로 설정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고향에 많은 눈이 내리고 강추위로 교통이 통제되고 있다는 재난문자를 받았고, 부모님께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면서 위험상황을 알렸다. ㄱ씨는 그동안 멀리 떨어져 살고 계신 부모님이 항상 걱정되었는데 이번 「안전디딤돌」 앱의 재난문자 희망지역 수신 서비스 덕분에 걱정을 한시름 놓을 수 있었다.

- ㄴ씨는 홀로 계신 어머니를 모시고 살고 있으나 최근 집에서 떨어진 지역에 장기간 출장을 가게 되었다. ㄴ씨는「안전디딤돌」앱에서 희망지역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듣고 집이 있는 지역을 수신지역으로 설정했다. 출장 중 집이 있는 지역에 눈과 영하권 추위로 빙판길, 수도계량기 동파 주의 등의 재난문자를 받았고, 집에 홀로 계신 어머니가 걱정되어 안부를 확인하고 위험상황을 알렸다. ㄴ씨는 평소출장이 잦아 늘 어머니가 걱정되고, 출장가는 지역의 재난안전정보도 궁금했었는데 앞으로는 이 기능을 활용해 여러 지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노년층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안전디딤돌」앱에서 재난문자 수신 희망지역을 설정하면 해당 지역의 재난문자를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대설·한파 대책기간에 이를 적극 활용해달라고 밝혔다.

 ○「안전디딤돌」앱은 휴대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 재난문자를 통한 위험상황 인지가 쉽지 않은 어르신들 보호를 위해 타지에 거주하는 자녀·친인척에게 대설·한파 위험정보를 발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수신 희망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우선 스마트폰에서「안전디딤돌」앱 을 설치한 후, 앱의 홈 화면 하단의 환경설정에서 > 수신지역 설정 > 원하는 지역으로 설정(OFF→ON) > 지역을 추가하면 된다. 이 기능을 활용해 전국 어디에서든지 원하는 지역의 재난문자를 편리하게 받을 수 있다.

□ 이외에도 「안전디딤돌」 앱에서는 국민행동요령, 대피소 등 재난 발생 시 또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재난안전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있다. 

  ≪ 안전디딤돌 앱 이용 현황 (’24.1월 기준) ≫

 *(개발 목적) 국민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안전정보 제공
 *(주요 기능) 국민행동요령, 재난문자, 대피소 등 115종 재난안전정보 제공
 *(서비스 기간) ’12년 ∼ 현재
  ※ ’23. 5월부터 수신지역(읍·면·동 단위까지) 설정 기능 추가
 *(누적 다운로드 수) 478만건(서비스 시작일로부터 ’24년 1월 현재까지의 누계)
  ※ 희망 수신지역을 설정한 건수: 112만건

□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휴대전화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은 겨울철 대설·한파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번 안전디딤돌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부모님 안부를 확인하고 겨울철 안전도 챙기시길 바란다”라며,

 ○ “앞으로도 행정안전부는 재난안전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 발굴하고 제공하여 재난으로부터 국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4-01-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89 아파트 관리문제,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71
4988 아파트 관리사무소 수도요금 부과방식 개선으로 입주민 부담 덜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2 29
4987 아파트 단지 내 ‘보행자 안심 교통환경’ 조성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6
4986 아파트 단지 내 도로 안전성 무료점검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5 45
4985 아파트 담배연기·악취, 층간 갈등 줄어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6 110
4984 아파트 대피 공간 열차단 성능 30분 이상 돼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6 90
4983 아파트 방범카메라로 ‘네트워크 카메라’ 방식 전면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27
4982 아파트 복도 적치물 신고도 안전신문고 「소방안전」창구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0 29
4981 아파트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지하주차장도 ´금연구역´으로 지정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2 103
4980 아파트 분양 계약 해제 시 이자도 돌려받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73
4979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오피스텔 실거래가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131
4978 아파트 실외기실 세부기준 마련 및 전기차 충전시설 확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9 20
4977 아파트 옥상 출입문, 화재 나면 자동으로 열린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9 78
4976 아파트 옥상 출입문, 화재 나면 자동으로 열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9 116
4975 아파트 옵션 계약 시 내용 구체화하고 이행 여부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6 19
Board Pagination Prev 1 ...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