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의 건강과 자유로운 경제활동 및 소중한 일상을 지키기 위한 2024 민생정책으로 올해부터 전국 국립 검역소(13개)에서 국민들의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해 연중 뎅기열 신속키트검사를 확대 실시한다. 이는 뎅기열이 검역감염병으로 추가 지정(’23.12.1.)됨에 따라 해외유입의 선제적 환자 감시를 위해 강화된 조치이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물려 감염되며, 5~7일의 잠복기 후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감염병이다. 아직까지 효과적인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모기물림 방지 등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2023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이전의 발생환자 수준으로 급증하여 86개국에서 500만 명 이상 환자가 발생하였고, 5천 명 이상 사망하였다(세계보건기구(WHO),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 우리나라도 일상회복에 따른 해외여행 활성화로 2022년부터 뎅기열 환자 유입이 증가 추세고, 2023년에는 총 206명이 확인되어 전년(103명)대비 2배 증가하였으며, 유입국가로는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순이었다.


특히 지난해 9월 사업 목적으로 방글라데시를 방문한 우리 국민이 뎅기열로 현지에서 사망한 사례와 같이, 뎅기열은 재감염 시 치명률*이 급격히 높아지므로 유행지역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상세한 뎅기열 예방정보는 해외감염병 NOW(http://www.해외감염병NOW.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뎅기 바이러스는 총 4개의 혈청형이 있으며, 재감염 시 다른 혈청형에 감염되면 중증 뎅기열(뎅기출혈열, 뎅기쇼크증후군 등)로 진행되며 치사율은 약 5%임.


뎅기열 환자가 주로 유입되는 위험국가 방문 중 모기물림이 있어 의심증상(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이 있는 경우, 검역관에게 이를 알리고 반드시 뎅기열 신속키트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신속키트검사는 간이검사로 양성으로 확인되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확인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


지영미 청장은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계신 국민들께서는 안전한 여행을 위해 여행 전 과정에 걸쳐 뎅기열 예방수칙을 숙지하고, 검역소 뎅기열 신속키트검사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①  여행 전 

  - 방문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해외감염병NOW(http://www.해외감염병NOW.kr) → 국가별 감염병 예방정보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②  여행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외출 시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3~4시간 간격으로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③  입국 시 

  - 검역관리지역(56개국)에서 입국할 경우 입국 전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을 통해 건강상태 정확히 입력하기

  - 뎅기열 의심증상(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발진 등)이 있을 시 검역관에게 알리고 뎅기열 신속키트검사 받기


 ④  여행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여 해외 방문력을 알리고 진료 받기

  - 귀국 후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 금지 




[ 질병관리청 2024-01-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5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87
2644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권익제고 방안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87
2643 전자책으로 보는 보조금‧복지 부정신고 사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87
2642 건강한 가을 여행을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87
2641 한국소비자원을 알려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87
2640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복용시 이런 점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87
2639 식품 중 식용타르색소의 사용량 제한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87
2638 학교 및 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에서의 판매금지 고열량·저영양 식품 목록 수정공고('15.1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6 87
2637 케이크 제조.판매업체 및 겨울철 다중이용시설 내 식품조리.판매업체 집중점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0 87
2636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 등록 사전검토 서비스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4 87
2635 스테로이드 검출 화장품 및 함량 미달 기능성화장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6 87
2634 11월말 전국 미분양 49,724호, 전월대비 54.3% (17,503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30 87
2633 생활 속 불편 지자체 민원 찾아 제도개선 권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1 87
2632 더쉽게, 한눈에... 식품의 영양표시가 바뀝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4 87
2631 제주 등 폭설 피해지역 금융업계 지원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5 87
Board Pagination Prev 1 ...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