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내용 -


◇ 고혈압과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90% 이상으로 지속 유지되고 있어 만성질환 관리 수준이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


  ⚬고혈압 진단 경험률: ’22년 19.8% → ’23년 20.6% (↑ 0.8%p)

  ⚬당뇨병 진단 경험률: ’22년 9.1% → ’23년 9.1% (변동 없음)

  ⚬고혈압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 ’22년 93.6% → ’23년 93.6% (변동 없음)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 ’22년 91.8% → ’23년 92.8% (↑ 1.0%p)


◇ 비만율(자가보고)은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흡연과 음주도 ’22년부터 지속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어 건강 관련 행태 개선 필요


  ⚬비만율(자가보고): ’22년 32.5% → ’23년 33.7% (↑ 1.2%p)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 ’22년 65.4% → ’23년 66.9% (↑ 1.5%p)

  ⚬현재흡연율: ’22년 19.3% → ’23년 20.3% (↑ 1.0%p)

  ⚬월간음주율: ’22년 57.7% → ’23년 58.0% (↑ 0.3%p)

  ⚬고위험음주율: ’22년 12.6% → ’23년 13.2% (↑ 0.6%p)


◇ 걷기실천율,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모두 개선

  ⚬걷기실천율: ’22년 47.1% → ’23년 47.9% (↑ 0.8%p)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22년 23.5% → ’23년 25.1% (↑ 1.6%p)


◇ 주요 건강지표의 시·도 간 격차*는 일부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지역 간 차이가 커 해소 전략 강화 필요


   * (지역 간 격차) 17개 시·도별로 산출한 지표 값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지역 간 격차: ’22년 22.0%p → ’23년 30.3%p (↑ 8.3%p)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 지역 간 격차: ’21년 6.8%p → ’23년 13.4%p (↑ 6.6%p)

   * ’21년부터 2년 주기 조사항목으로 조사되어 ’21년 결과와 비교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약 23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통계를 발표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보건법」 제4조에 근거하여 매년 전국 258개 보건소가 지역주민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난 2008년부터 시‧군‧구 단위의 건강통계와 지역 간 비교통계를 산출하고 있다.


  2023년에는 지자체의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활용의 적시성을 제고하기 위해 조사시기를 3개월 앞당겨 조기 실시하고, 결과를 연내 공표(익년 4월→당해연도 12월)하는 것으로 조정하였다.


  2023년도 조사 결과는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 231,752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 건강행태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이환 현황 등을 조사하여 분석한 자료이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3-12-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74 르노·기아·제이스모빌리티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8 10
13373 올해 1월분 소득부터 「인적용역 기타소득자․스포츠강사」 소득자료 매월 제출 시작, 미리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8 10
13372 KT의 소량구간 5G 요금제 개편을 위한 이용약관 신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8 9
13371 올해부터 중증장애인이 있는 가구는 의료급여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7 12
13370 앞으로는 의료기관 전체 병동에서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7 11
13369 5월부터 K-패스로 대중교통비 20~53%까지 돌려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7 12
13368 어디서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인증 시대 개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8
13367 불법스팸 전송자 및 사업자 처벌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0
13366 도로점용허가증, 모바일로 간편하게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1
13365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사업장 현황신고, 2월 13일까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3
13364 저소득층 성인 7.1만 명, 연간 35만 원(최대 70만 원)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7
13363 의류용 표백제, 제품에 따라 얼룩 제거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3
13362 안전디딤돌 앱으로 겨울철 부모님 안부를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5 9
13361 1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5 24
13360 연말정산용 증명서, 정부24에서 간편하게 발급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5 9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