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아 교정치료는 부정교합을 예방하거나 처치하는 시술로,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등의 미용 효과도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관심이 높다. 그러나 교정장치 비용을 포함한 교정 치료비를 선납한 후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잔여 대금을 적게 돌려받거나, 치료 이후 교합이 악화되었다는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치아 교정 관련 피해 유형으로는 부작용 발생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최근 약 4년간(2020~2023.11월) 접수된 치아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77건*을 분석한 결과,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가 40.3%(3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소비자가 치료를 중단 후 잔여대금 환급을 요구했으나 의료기관에서 환급을 거부하거나 환급금을 적게 제시하는 등의 계약 관련 피해가 37.7%(29건)로 나타났다. 

그밖에 효과 미흡 13.0%(10건), 발치 및 고정식 교정치료가 필요했으나 비발치 투명교정치료를 받는 사례 등 잘못된 치료 방법 6.5%(5건)에 따른 피해 등의 순이었다.
  * 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 (‘20년) 23건→ (’21년) 17건→ (‘22년) 18건→ (’23년 11월) 19건
  
☐ 교정치료 후 교합 이상, 치아 흔들림 증상 있어 

부작용 관련 세부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정치료를 받았지만 오히려 교합이 맞지 않는다와 치아가 흔들린다는 내용이 각각 25.8%(8건)로 가장 많았고, 잇몸 질환 22.6%(7건), 턱관절 통증 및 잡음 등 턱관절 관련 증상이 12.9%(4건)였다.

☐ 계약 해지 요청, 교정치료 시작 1개월 이내가 가장 많아

계약 관련 피해의 경우, 44.8%(13건)가 1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해지 사유를 보면 6개월 이내에는 단순변심, 서비스 불만족이 주된 사유이나,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초기 계획과는 달리 치료 내용이 변경되거나 추가 비용을 요구해 치료를 중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교정치료 비용은 평균 490여만 원으로 확인돼

교정치료는 장치 종류 및 치료 계획, 월 치료 비용 포함 여부 등 계약 내용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다. 피해구제 신청 건 중 치료비용이 확인된 71건을 분석한 결과, 최저 70만 원부터 최고 1,400만 원까지 다양했고, 평균 치료 비용은 490여만 원이었다.

☐ 치아 교정치료 전 충분히 설명듣고 신중히 결정해야

교정치료는 치료 기간이 길고 치아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만큼 불가피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치료에 대한 이해 및 꾸준한 정기검진이 중요하다. 특히 치료 특성상 교정장치 비용이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교정장치를 부착한 후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초기에 치료를 중단하더라도 환급금이 적을 수 있다.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원은 의료기관에 ▲치아 상태 및 치료 방법과 교정 기간 및 예상되는 결과, ▲전체 교정 치료비 및 치료 중단 시 환불 규정 등을 소비자에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피해 예방을 위해 ▲이벤트나 할인 등 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치료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것, ▲교정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요구할 것, ▲꾸준한 정기 검진을 위해 가급적 가까운 의료기관을 선택할 것, ▲계약 전 환불규정, 치료 계획 변경 가능성 및 추가 비용 발생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8월 대한교정치과학회, 바른이봉사회와 함께 ‘치아교정, 좋은 교정치과 선택이 중요합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며 라디오 방송, 지하철 홍보 등을 통해 치아 교정 의료기관 선택 시 주의사항을 알렸다.


[ 한국소비자원 2023-12-18 ]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치아교정 관련 피해 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소비자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20 삼킬 위험이 있는 Work ’N Leisure Products社 일회용 심폐소생교육 밸브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7 2017.02.08
3919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Pub Original 스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22.06.14
3918 Graco 휴대용 아기침대(Travel Lite Crib), 표시사항 위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7.10.31
3917 라벨 미표기(아몬드) 성분 함유한 Montezuma'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4 2022.06.14
391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28~2016.1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3 2016.11.07
391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learine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22.06.13
3914 휴가철 등 야외활동 시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8.07.09
3913 피셔프라이스 전동바운서, 과열로 인한 화재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8.02.07
3912 Safety-1st, 쉽게 파손되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7.06.02
391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Roasted Garlic 구운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1 2021.01.29
3910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1 2017.05.25
3909 2016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1 2017.01.04
3908 의류제품 소비자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으로 나타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1 2017.03.31
3907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0 2017.01.26
3906 Dazzling White 치아미백제, 고농도 과산화수소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19.03.12
3905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9 2017.01.12
390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9.9.∼2016.9.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8 2016.09.26
390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6.10~2016.6.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8 2016.06.20
3902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단계 검역.검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7 2017.03.21
3901 도어래치 작동불량 발생하는 기아(주) 스포티지(QL) 차량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6 2022.05.02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