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아 교정치료는 부정교합을 예방하거나 처치하는 시술로,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등의 미용 효과도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관심이 높다. 그러나 교정장치 비용을 포함한 교정 치료비를 선납한 후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잔여 대금을 적게 돌려받거나, 치료 이후 교합이 악화되었다는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치아 교정 관련 피해 유형으로는 부작용 발생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최근 약 4년간(2020~2023.11월) 접수된 치아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77건*을 분석한 결과,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가 40.3%(3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소비자가 치료를 중단 후 잔여대금 환급을 요구했으나 의료기관에서 환급을 거부하거나 환급금을 적게 제시하는 등의 계약 관련 피해가 37.7%(29건)로 나타났다. 

그밖에 효과 미흡 13.0%(10건), 발치 및 고정식 교정치료가 필요했으나 비발치 투명교정치료를 받는 사례 등 잘못된 치료 방법 6.5%(5건)에 따른 피해 등의 순이었다.
  * 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 (‘20년) 23건→ (’21년) 17건→ (‘22년) 18건→ (’23년 11월) 19건
  
☐ 교정치료 후 교합 이상, 치아 흔들림 증상 있어 

부작용 관련 세부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정치료를 받았지만 오히려 교합이 맞지 않는다와 치아가 흔들린다는 내용이 각각 25.8%(8건)로 가장 많았고, 잇몸 질환 22.6%(7건), 턱관절 통증 및 잡음 등 턱관절 관련 증상이 12.9%(4건)였다.

☐ 계약 해지 요청, 교정치료 시작 1개월 이내가 가장 많아

계약 관련 피해의 경우, 44.8%(13건)가 1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해지 사유를 보면 6개월 이내에는 단순변심, 서비스 불만족이 주된 사유이나,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초기 계획과는 달리 치료 내용이 변경되거나 추가 비용을 요구해 치료를 중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교정치료 비용은 평균 490여만 원으로 확인돼

교정치료는 장치 종류 및 치료 계획, 월 치료 비용 포함 여부 등 계약 내용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다. 피해구제 신청 건 중 치료비용이 확인된 71건을 분석한 결과, 최저 70만 원부터 최고 1,400만 원까지 다양했고, 평균 치료 비용은 490여만 원이었다.

☐ 치아 교정치료 전 충분히 설명듣고 신중히 결정해야

교정치료는 치료 기간이 길고 치아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만큼 불가피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치료에 대한 이해 및 꾸준한 정기검진이 중요하다. 특히 치료 특성상 교정장치 비용이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교정장치를 부착한 후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초기에 치료를 중단하더라도 환급금이 적을 수 있다.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원은 의료기관에 ▲치아 상태 및 치료 방법과 교정 기간 및 예상되는 결과, ▲전체 교정 치료비 및 치료 중단 시 환불 규정 등을 소비자에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피해 예방을 위해 ▲이벤트나 할인 등 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치료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것, ▲교정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요구할 것, ▲꾸준한 정기 검진을 위해 가급적 가까운 의료기관을 선택할 것, ▲계약 전 환불규정, 치료 계획 변경 가능성 및 추가 비용 발생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8월 대한교정치과학회, 바른이봉사회와 함께 ‘치아교정, 좋은 교정치과 선택이 중요합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며 라디오 방송, 지하철 홍보 등을 통해 치아 교정 의료기관 선택 시 주의사항을 알렸다.


[ 한국소비자원 2023-12-18 ]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치아교정 관련 피해 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소비자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13 홍콩·대만, 여름임에도 인플루엔자 유행··· 현지 여행시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6 2017.07.24
4012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01~ 2016.08.0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5 2016.11.30
4011 스로틀케이블 결함으로 충돌 위험 있는 YAMAHA ATV 무상수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2 2017.02.07
4010 탑승자의 사고위험 있는 전기자전거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1 2017.04.07
4009 2016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0 2016.04.29
4008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6.20~ 2016.06.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9 2016.09.12
400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5.∼2016.8.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6 2016.08.16
4006 곰팡이가 생길 우려가 있는 영유아용 빨대컵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6 2016.10.06
400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5.20∼2016.5.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5 2016.05.30
4004 작동불량 가능성이 있는 무선 경보장치(Wireless personal panic devices)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3 2017.03.06
4003 2016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3 2016.06.01
4002 "원금과 고수익을 동시에 보장" 한다고 유혹하는 유사수신 업체 투자권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2 2020.11.23
4001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1 2017.02.03
4000 재료 결함으로 베임 우려 있는 Mammut 눈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0 2023.04.20
3999 스토케(Stokke) 신생아용 의자(Tripp Trapp Newborn Set), 낙상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0 2019.09.20
399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5.13∼2016.5.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0 2016.05.23
3997 날카로운 하단부에 전선손상 및 감전 우려 있는 SEKO 전기 티팟·트레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9 2023.04.20
3996 핸들바 파손위험 있는 킥보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9 2017.04.27
3995 2016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8 2016.06.01
3994 Little Giant Velocity, LT, Liberty 브랜드의 접이식 사다리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5 2017.04.2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