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아 교정치료는 부정교합을 예방하거나 처치하는 시술로,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등의 미용 효과도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관심이 높다. 그러나 교정장치 비용을 포함한 교정 치료비를 선납한 후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잔여 대금을 적게 돌려받거나, 치료 이후 교합이 악화되었다는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치아 교정 관련 피해 유형으로는 부작용 발생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최근 약 4년간(2020~2023.11월) 접수된 치아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77건*을 분석한 결과,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가 40.3%(3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소비자가 치료를 중단 후 잔여대금 환급을 요구했으나 의료기관에서 환급을 거부하거나 환급금을 적게 제시하는 등의 계약 관련 피해가 37.7%(29건)로 나타났다. 

그밖에 효과 미흡 13.0%(10건), 발치 및 고정식 교정치료가 필요했으나 비발치 투명교정치료를 받는 사례 등 잘못된 치료 방법 6.5%(5건)에 따른 피해 등의 순이었다.
  * 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 (‘20년) 23건→ (’21년) 17건→ (‘22년) 18건→ (’23년 11월) 19건
  
☐ 교정치료 후 교합 이상, 치아 흔들림 증상 있어 

부작용 관련 세부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정치료를 받았지만 오히려 교합이 맞지 않는다와 치아가 흔들린다는 내용이 각각 25.8%(8건)로 가장 많았고, 잇몸 질환 22.6%(7건), 턱관절 통증 및 잡음 등 턱관절 관련 증상이 12.9%(4건)였다.

☐ 계약 해지 요청, 교정치료 시작 1개월 이내가 가장 많아

계약 관련 피해의 경우, 44.8%(13건)가 1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해지 사유를 보면 6개월 이내에는 단순변심, 서비스 불만족이 주된 사유이나,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초기 계획과는 달리 치료 내용이 변경되거나 추가 비용을 요구해 치료를 중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교정치료 비용은 평균 490여만 원으로 확인돼

교정치료는 장치 종류 및 치료 계획, 월 치료 비용 포함 여부 등 계약 내용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다. 피해구제 신청 건 중 치료비용이 확인된 71건을 분석한 결과, 최저 70만 원부터 최고 1,400만 원까지 다양했고, 평균 치료 비용은 490여만 원이었다.

☐ 치아 교정치료 전 충분히 설명듣고 신중히 결정해야

교정치료는 치료 기간이 길고 치아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만큼 불가피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치료에 대한 이해 및 꾸준한 정기검진이 중요하다. 특히 치료 특성상 교정장치 비용이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교정장치를 부착한 후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초기에 치료를 중단하더라도 환급금이 적을 수 있다.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원은 의료기관에 ▲치아 상태 및 치료 방법과 교정 기간 및 예상되는 결과, ▲전체 교정 치료비 및 치료 중단 시 환불 규정 등을 소비자에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피해 예방을 위해 ▲이벤트나 할인 등 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치료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것, ▲교정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요구할 것, ▲꾸준한 정기 검진을 위해 가급적 가까운 의료기관을 선택할 것, ▲계약 전 환불규정, 치료 계획 변경 가능성 및 추가 비용 발생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8월 대한교정치과학회, 바른이봉사회와 함께 ‘치아교정, 좋은 교정치과 선택이 중요합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며 라디오 방송, 지하철 홍보 등을 통해 치아 교정 의료기관 선택 시 주의사항을 알렸다.


[ 한국소비자원 2023-12-18 ]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치아교정 관련 피해 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소비자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13 전기찜질기 7개 제품, 자발적 교환·환급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6 2017.01.24
401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5 2016.06.29
4011 꽃차를 섭취하기 전에 먹을 수 있는 꽃인지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4 2020.11.23
4010 한 번의 클릭, 피해는 평생 갈 수 있습니다. -’17년 인터넷상 불법 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2 2018.03.29
4009 이케아 말름(MALM) 등, 국가기술표준원에 시정 건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2 2016.07.07
4008 휴대전화發 불법도박 이미지스팸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9 2018.02.13
400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9.2.∼2016.9.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9 2016.09.12
4006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8 2016.06.23
4005 KC인증 없이 유통된 일회용 핫팩 회수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3 2017.04.26
4004 휴대폰 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2 2019.04.18
4003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5.23~ 2016.05.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1 2016.09.07
4002 사용 중 폭발한 미인증 쉐이빙폼 4개사 일괄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1 2017.02.09
4001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9 2017.05.29
4000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의 정상작동을 차단하는 센서캡 유통·판매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8 2017.07.18
3999 동충하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6 2017.01.26
3998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6.11.28
3997 물티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6.09.08
3996 Little Tikes 브랜드, 유아용 그네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3 2017.04.19
3995 Boosted Dua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중지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2 2017.06.02
3994 기준치 초과 금속성 이물 검출된 분말 식품 12종 시정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0 2019.07.22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