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아 교정치료는 부정교합을 예방하거나 처치하는 시술로,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등의 미용 효과도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관심이 높다. 그러나 교정장치 비용을 포함한 교정 치료비를 선납한 후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잔여 대금을 적게 돌려받거나, 치료 이후 교합이 악화되었다는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치아 교정 관련 피해 유형으로는 부작용 발생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최근 약 4년간(2020~2023.11월) 접수된 치아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77건*을 분석한 결과,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가 40.3%(3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소비자가 치료를 중단 후 잔여대금 환급을 요구했으나 의료기관에서 환급을 거부하거나 환급금을 적게 제시하는 등의 계약 관련 피해가 37.7%(29건)로 나타났다. 

그밖에 효과 미흡 13.0%(10건), 발치 및 고정식 교정치료가 필요했으나 비발치 투명교정치료를 받는 사례 등 잘못된 치료 방법 6.5%(5건)에 따른 피해 등의 순이었다.
  * 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 (‘20년) 23건→ (’21년) 17건→ (‘22년) 18건→ (’23년 11월) 19건
  
☐ 교정치료 후 교합 이상, 치아 흔들림 증상 있어 

부작용 관련 세부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정치료를 받았지만 오히려 교합이 맞지 않는다와 치아가 흔들린다는 내용이 각각 25.8%(8건)로 가장 많았고, 잇몸 질환 22.6%(7건), 턱관절 통증 및 잡음 등 턱관절 관련 증상이 12.9%(4건)였다.

☐ 계약 해지 요청, 교정치료 시작 1개월 이내가 가장 많아

계약 관련 피해의 경우, 44.8%(13건)가 1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해지 사유를 보면 6개월 이내에는 단순변심, 서비스 불만족이 주된 사유이나,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초기 계획과는 달리 치료 내용이 변경되거나 추가 비용을 요구해 치료를 중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교정치료 비용은 평균 490여만 원으로 확인돼

교정치료는 장치 종류 및 치료 계획, 월 치료 비용 포함 여부 등 계약 내용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다. 피해구제 신청 건 중 치료비용이 확인된 71건을 분석한 결과, 최저 70만 원부터 최고 1,400만 원까지 다양했고, 평균 치료 비용은 490여만 원이었다.

☐ 치아 교정치료 전 충분히 설명듣고 신중히 결정해야

교정치료는 치료 기간이 길고 치아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만큼 불가피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치료에 대한 이해 및 꾸준한 정기검진이 중요하다. 특히 치료 특성상 교정장치 비용이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교정장치를 부착한 후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초기에 치료를 중단하더라도 환급금이 적을 수 있다.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원은 의료기관에 ▲치아 상태 및 치료 방법과 교정 기간 및 예상되는 결과, ▲전체 교정 치료비 및 치료 중단 시 환불 규정 등을 소비자에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피해 예방을 위해 ▲이벤트나 할인 등 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치료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것, ▲교정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요구할 것, ▲꾸준한 정기 검진을 위해 가급적 가까운 의료기관을 선택할 것, ▲계약 전 환불규정, 치료 계획 변경 가능성 및 추가 비용 발생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8월 대한교정치과학회, 바른이봉사회와 함께 ‘치아교정, 좋은 교정치과 선택이 중요합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며 라디오 방송, 지하철 홍보 등을 통해 치아 교정 의료기관 선택 시 주의사항을 알렸다.


[ 한국소비자원 2023-12-18 ]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치아교정 관련 피해 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소비자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29 세이펜, 고속충전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6.12.13
4128 플러그 위험부위가 노출되는 LED 충전식 라이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7.04.19
4127 제주 한달살기 숙박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8 2018.12.26
4126 헬스투데이(주) 디퓨저(코코도르, 헤리티지, 얼반), 어린이보호포장이 되지 않아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8 2018.06.20
4125 BARREL-O-SLIME 슬라임 장난감에 붕소 과량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7 2019.04.11
4124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5.30~ 2016.06.0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09.07
4123 외용기 코팅이 화장품에 혼입되어 부작용 발생하는 화장품 교환·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11.30
412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06.20
4121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06.10
4120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4 2017.06.01
411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14~2016.10.2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4 2016.10.24
4118 안전정보 표시를 누락한 Coleman 휴대용 버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2 2021.12.27
4117 앞바퀴 분리 위험이 있는 유모차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2 2016.10.06
4116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2 2016.04.15
4115 온라인 판매 차량용 인조 가죽시트커버, 대부분 내인화성 없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0 2017.02.21
4114 낙하 위험 있는 Flos社 팬던트 조명 기구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7 2017.02.08
4113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6.06~ 2016.06.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6 2016.09.07
4112 맘스터치 매운양념치킨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5 2016.08.22
4111 안전확인 표시를 하지 않은 한국잡월드 캐치볼 자발적 환급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3 2016.06.15
4110 스탠드 붕괴로 골절, 열상,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테이블톱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1 2017.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