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Ⅰ. 인구·가구 □ 2022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인 750만 2천 가구임 ㅇ '22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인 750만 2천 가구이고, 연령대별 비중은 29세 이하 19.2%, 70세 이상 18.6%, 30대 17.3%, 60대 16.7% 순임 (7~8쪽) ㅇ ’22년 지역별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은 대전이 38.5%로 가장 높았고, 서울(38.2%), 강원(37.2%), 충북(37.0%), 경북(37.0%) 순임 (9쪽) □ 2022년 1인가구 10가구 중 4가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함 ㅇ '22년 1인가구의 지역별 비중은 경기가 21.8%로 가장 높고, 서울(20.8%), 부산(6.8%), 경남(6.2%) 순임 (10쪽) ㅇ ‘22년 귀농·귀어·귀촌한 가구 4가구 중 약 3가구는 1인가구이며, 비중은 귀농 75.3%, 귀어 77.3%, 귀촌 77.6%로 나타남 (12쪽) Ⅱ. 주거 □ 2022년 1인가구의 거처종류는 단독주택(41.0%), 아파트(34.0%) 순임 ㅇ '22년 1인가구의 거처종류는 단독주택 41.0%, 아파트 34.0%, 연립‧다세대 11.7% 순이고, 전체 가구보다 단독주택, 주택이외거처 주거 비중이 높았음 (13쪽) ㅇ '22년 1인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아져 70세 이상이 48.8%로 가장 높았고, 60대(43.3%), 50대(36.6%) 순임 (14쪽) Ⅲ. 고용 □ 2022년 취업자 1인가구는 455만 5천 가구로 전년보다 20만 4천 가구 증가 ㅇ '22년 10월 취업자 1인가구는 455만 5천 가구이고, 연령별로는 50~64세(26.2%), 30대(23.5%), 15~29세(20.5%) 순으로 비중이 높았음 (19쪽) ㅇ '22년 1인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7.0시간이며, 남자는 39.3시간, 여자는 34.2시간으로 남녀 모두 감소 추세임 (22쪽) Ⅳ. 소득·소비·자산 □ 2022년 1인가구의 연간 소득은 3,010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44.5% 수준임 ㅇ ’22년 1인가구의 연간 소득은 3,010만 원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하였으며, 전체 가구(6,762만 원)의 44.5% 수준임 (24쪽) ㅇ ’22년 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55만 1천 원으로 전체 가구(264만 원) 대비 58.8% 수준이고, 음식‧숙박(17.8%), 주거‧수도‧광열비(17.6%) 순임 (26쪽) ㅇ '23년 1인가구 자산은 2억 949만 원으로, 전체 가구(5억 2,727만 원)의 39.7%, 부채는 3,651만 원으로 전체 가구(9,186만 원)의 39.7% 수준임 (27쪽) Ⅴ. 건강·복지 □ 2022년 1인가구의 월평균 보건지출은 12만 9천 원임 ㅇ ’22년 1인가구의 월평균 보건지출은 12만 9천 원으로 전체 가구(23만 2천 원)대비 55.7% 수준이고, 지출 비중은 외래의료서비스(31.4%), 의약품(29.4%) 순임 (29쪽) ㅇ ’22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가구는 123만 5천 가구로, 수급대상가구 10가구 중 7가구(72.6%)가 1인가구임 (30쪽) ㅇ ’23년 19세 이상 1인가구가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은 취미활동이 46.2%로 가장 많았고, 여행‧관광활동(26.2%), 소득창출활동(12.0%) 순임 (32쪽) Ⅵ. 사회적 관계 □ 2023년 1인가구 2가구 중 1가구는 전반적인 인간관계에 만족함 ㅇ ’23년 1인가구 중 전반적인 인간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50.0%로, 전체인구의 만족 비중(54.3%)보다 4.3%p 낮았음 (34쪽) ㅇ ’23년 1인가구 중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는 비중은 67.8%이며, 2년 전보다 0.1%p 증가함 (35쪽) ㅇ '23년 1인가구 중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는 사회라고 응답한 비중은 57.5%로 2년 전보다 2.9%p 증가함 (36쪽) Ⅶ. 여가 □ 2023년 1인가구의 주말 주된 여가활동은 동영상 콘텐츠 시청(77.9%)임 ㅇ ‘23년 1인가구의 주말 여가활동은 동영상 콘텐츠 시청이 77.9%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휴식(73.4%), 컴퓨터 게임‧인터넷 검색(23.7%), 취미‧자기개발(17.2%) 등의 순임 (37쪽) ㅇ '22년 1인가구의 여가활동의 주된 목적은 개인의 즐거움을 위해가 34.8%로 가장 많았고,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위해(18.9%), 시간을 보내기 위해(15.6%) 순임 (38쪽) ㅇ '22년 1인가구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4.5시간, 주말 6.3시간임 (40쪽)


[ 통계청 2023-12-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74 제2기(‘15∼’17년) 전문병원 111개 병원 지정 소비생활센터 2015.01.02 491
13873 모든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 명칭을 「해바라기센터」로 통일, 이용자 혼선 없앤다 cunsumer 2015.01.02 541
13872 2015년부터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본인부담상한액 적용 cunsumer 2015.01.02 578
13871 해양심층수 모든 식품에 사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66
13870 2015년 식·의약품 안전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67
13869 해외 여행지 안전정보 제공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6
13868 미용실‧숙박업 폐업신고 세무서나 구청 한 곳에서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508
13867 폐 망가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최근 진료인원 감소 추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57
13866 한약재 GMP 전면의무화로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83
13865 선불식 할부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06
13864 보험계약체결 및 보험금 청구시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8
13863 아동권익 보호를 위한 입양기관 행정처분 기준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505
13862 “「한국의 밥心」쌀은 식량이기 이전에 우리의 정체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45
13861 4-메틸이미다졸 기준초과‘카라멜색소’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514
13860 범정부 차원의 『복지?보조금 부정 신고센터』출범 확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