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0세 시대를 맞아 건강관리에 대한 전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며 치과를 방문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치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삼킴·흡인사고가 지속적으로 나타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 이하 ‘소비자원’)과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박태근, 이하 ‘치협’)가 공동으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최근 4년간 임플란트(인공 치아 이식) 상담을 위해 치과를 방문한 환자 수
   : (’19년) 560,378명 → (’20년) 553,595명 → (’21년) 594,585명 → (’22년) 628,526명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치과용 재료 등이 소화계통으로 넘어갈 경우 대부분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배출되지만, 날카로운 부품을 삼키거나 이물질이 간혹 기도로 넘어가면 생명에 위협을 야기할 수 있어 의료진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10명 중 7명은 60대 이상 고령자에서 발생 

최근 4년 6개월간(’19년 ~ ’23년 6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치과에서 발생한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총 112건이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관련 사고는 연간 20건 내외로 발생빈도는 높지 않은 편이지만, 2022년에는 전년(’21년) 대비 105.9%(17건→35건) 증가했다.

전체 112건 중 67.9%(76건)는 60대 이상 고령자에게 발생했으나, ‘만 14세 이하 어린이’에게도 7.1%(8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대에 걸쳐 주의가 필요하다.

☐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등 보철 치료 시 특히 주의해야

위해발생 경위를 살펴본 결과 임플란트 시술·크라운 치료·기타 보철치료 등 작은 기구와 재료를 사용하는 보철치료 중 발생한 경우가 73.2%(82건)였고, 그 외 충치 치료·사랑니 발치 등의 기타 진료행위 중 발생한 경우가 26.8%(30건)였다.
  이물질이 확인된 부위는 식도·위장·대장 등의 소화계통이 83.9%(9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기도·폐 등의 호흡계통이 12.5%(14건), 목 3.6%(4건) 순으로 나타났다.

소화계통에 비해 호흡계통에서의 발생률이 낮은 이유는 이물질이 기도로 넘어갈 때 강한 기침반사로 흡인을 막기 때문인데, 고령자의 경우 기침반사가 저하되어 흡인 위험이 비교적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전한솔, 이진한. 2018. "치과 치료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삼킴과 흡인의 예방과 대처",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34(2):63-65 

☐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장치 마련 필요, 환자도 적극 협조해야

치협 관계자는 “이물질 삼킴·흡인사고는 구강 내 러버댐*이나 거즈 등을 방어막으로 활용해 예방할 수 있으나, 환자의 상태나 시술 종류에 따라 해당 방법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으니 시술 전 의료진과 자세한 상담을 권한다”라고 밝혔다.
* 러버댐(rubber dam) : ‘고무로 된 댐’이라는 뜻으로, 얇은 고무판에 구멍을 뚫어 시술할 부위의 치아만을 노출시키고 나머지는 고무판 아래 위치시켜 격리하는 방법
  
또한 소비자원과 치협은 치과 이물질 삼킴·흡인사고 예방을 위해 의료진에게는 ▲고령환자 진료 시 특히 주의할 것, ▲러버댐·거즈 활용 등의 예방법을 적극 활용할 것, ▲이물질이 떨어질 시 바로 제거할 수 있도록 흡인기를 준비할 것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불안감이 높거나 비호흡(鼻呼吸, 코로 하는 호흡)이 어려운 환자는 미리 의료진에게 알릴 것, ▲치료 중 갑자기 움직이는 행위는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니 불편함이 느껴질 시 손을 들어 알릴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3-12-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60 My Baby 조명, 아동 삼킴사고 발생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2.07
3959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6.14
3958 Navien 순간온수기,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9.04.11
3957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12.04
3956 NEWA 화장품(Lift Activator Gel),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04.12
3955 Next 후드 재킷, 장식으로 인한 부상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19.01.31
3954 Now Foods 비타민 영양제(Vitamin A 25,000 IU from Fish Liver Oil), 간 독성 초래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8.07.19
3953 Nutiva 코코넛 오일, 기준치 초과하는 벤조피렌 성분 검출 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5.16
3952 Nutrex 보조제, 미승인 성분 함유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2.07
3951 Nutrisport 단백질 보충제, 알러지원 미표기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12.04
3950 NVIDIA Shield의 유럽형 전원어댑터,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10.23
3949 NVIDIA Shield의 유럽형 전원어댑터,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7.10.31
3948 Oball 유아용 완구, 부품 파손으로 질식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18.09.06
3947 OCTOBERMAY INTL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1.28
3946 Officeworks 교구세트, 건전지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9.06.14
3945 Oil & Carol 목욕완구,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3.12
3944 Oil&Carol 치발기(Dalmatian Teether),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18.03.21
3943 OK가전쇼핑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21.12.31
3942 Olympic 얼룩세척제, 내용물 노출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8.03.21
3941 Omega Pacific 카라비너, 파손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8 2018.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