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통계개발원(원장 송준혁)은 국민시간이전계정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넓히고 이용자들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KOSTAT 통계플러스」2023년 겨울호(12.22. 발간)에 국민시간이전계정 심층분석 결과를 게재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주요 분석내용을 미리 소개하고자 한다. 가사노동 서비스는 누가 얼마나 생산했을까?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기초로 산출한 가사노동 서비스의 가치는 490.9조 원으로 GDP의 25.5%에 상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생산한 가사노동 서비스는 356.0조원으로 남성이 생산한 134.9조원보다 2.6배 많은 수준이다. 연령계층별로는 노동연령층(15~64세)이 410.0조원(83.5%), 노년층(65세 이상)이 80.9조원(16.5%)를 분담하였다. 시계열로 보면 남성과 노년층의 가사노동 서비스 생산 비중이 1999년 각각 20.1%, 8.4%에서 2019년 27.5%, 16.5%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 서비스는 누가 얼마나 소비하고 있을까? 2019년 기준으로 유년층(0~14세)의 경우 돌봄(105.7조원)을 중심으로 131.6조원을 소비하였으며, 노동연령층과 노년층은 가정관리(각각 259.2조원, 72.7조 원)를 중심으로 각각 281.9조원, 77.4조원을 소비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1인당 가사노동 소비는 돌봄이 많이 필요한 0세에 3,638만 원으로 가장 많고, 성년이 되는 20세에 390만 원으로 가장 적으며,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면서 ‘L’자형의 모습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에 따른 가사노동 서비스의 소비와 생산의 차이는 어떤 모습일까? 가사노동 서비스의 소비와 생산의 차이로 인한 가사노동 서비스의 이전을 가구내(함께 사는 가족)와 가구간(함께 살지 않는 가족)으로 구분하여 보면, 가구내에서는 노동연령층과 유년층 간 서비스가 이전되며, 가구간에서는 조부모연령(55~75세)에서 손자녀 연령(0~15세)으로 서비스 이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준혁 통계개발원장은 “가사노동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 구조와 흐름을 성별, 연령별, 가구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국민시간이전계정이 보육 및 가족돌봄 등 다양한 정부정책 수립과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통계청 2023-1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50 키즈카페 등 놀이시설 내 음식점 일제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31 37
12649 키위워치(KIWIWATCH) 보호캡 무상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3 69
12648 키오스크 및 모바일앱 장애인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88
12647 키성장 제품 판매업체의 부당 표시광고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5 96
12646 큰 눈 내리면 국립공원 설경 만끽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65
12645 크림 과자, 고춧가루의 자가품질 검사항목 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107
12644 크림 과자, 고춧가루의 자가품질 검사항목 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88
12643 크릴오일 제품,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9 10
12642 크로노박터 검출 ‘기타영·유아식’ 및 금속성 이물 검출 ‘만두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2 31
12641 크라이슬러, 푸조, 시트로엥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5 75
12640 크라이슬러, 캐딜락, 한국지엠 리콜 실시 및 타카타 에어백 리콜 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128
12639 크라이슬러, 전기배선 및 에어백 결함으로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94
12638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1 84
12637 큐알(QR)코드로 식품정보 한 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1 88
12636 퀴즈풀고 경품 행운도 잡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1 14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