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추운 날씨에 전기난로와 전기장판 등 전기로 열을 내는 제품을 사용할 때 지켜야할 안전요령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였다.

  ○ 12월은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난방을 위한 전열기 사용이 많아지는 시기로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장기간 보관했던 제품을 사용할 때는 더욱 철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 최근 5년(2018~2022년) 동안 전열기로 인한 화재는 총 2,390건(전기난로 1,211건, 전기장판 1,179건)이며, 344명의 인명피해(사망 48명, 부상 296명)가 발생하였다.

  ○ 이 중, 12월과 1월에 발생한 전열기 관련 화재는 994건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하고 있어 겨울철 전열기 사용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이러한 화재의 원인은 전열기 전원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거나 불에 타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는 등의 부주의가 45%로 가장 많았으며,

   - 전기 접촉 불량이나 내부 열선의 압착·손상 등의 전기적 요인이 31%, 노후․과열 등으로 인한 기계적 요인 19% 등이다.

□ 전기난로와 전기장판 등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 화재를 예방한다.

  ○ 한동안 쓰지 않고 보관 중이던 전열기를 꺼내 쓸 때는 작동에 이상은 없는지 살피고, 전선과 열선 등이 헐거워지거나 벗겨진 곳은 없는지 꼼꼼히 확인한다.

    - 또한, 시간 설정 기능 등을 활용하여 고온으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자리를 비울 때나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 전열기 사용 시 플러그(plug)는 콘센트에 끝까지 밀어서 꽂아 쓰고, 여러 제품을 문어발처럼 사용하면 과열될 수 있어 위험하니 주의한다.

  ○ 특히, 전기난로 주위로는 타기 쉬운 종이 등 가연물이나 의류 등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 아울러 전기장판의 경우, 바닥에 깔고 쓰는 부분이 접히지 않도록 사용하고, 무거운 물체에 눌리면 내부 열선이 손상되어 위험하니 주의한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전열기는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특히 화재 예방에 유의해야 한다”라며, “특히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곳에서는 작은 부주의도 큰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만큼 안전관리에 더욱 각별히 주의하여 주시기 바란다”라고 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행정안전부 2023-1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11 계란 관련 Q&A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65 2017.01.26
3510 고기에서 혈관이 나온다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6.21
3509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불완전판매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16
3508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18 2016.12.01
3507 고령자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7.12.21
3506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09.08
3505 고령층 대상 식품 부당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1.10.26
3504 고령층 대상 홍보관 등 불법 방문판매 영업장 방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0.06.11
3503 고령층 대상, '관절건강' 부당광고하는 식품 등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24
3502 고무 조각 혼입된 Calve 땅콩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1.16
3501 고무 혼입 가능성 있는 Calbee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27
3500 고무볼 혼입 가능성이 있는 Branston 콩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1.25
3499 고무풍선 입으로 불거나 빨면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1.23
3498 고속도로 졸음쉼터 진·출입로 짧고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11.23
3497 고속도로 주행 광역버스 안전띠 착용률 매우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8.02.06
3496 고수익 보장, 특별 저가 매수 기회 등으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가상자산 투자권유,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8.03
3495 고수익 재테크를 빙자한 유사금융플랫폼 사기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7.23
3494 고수익으로 유혹하는 금융회사 사칭 불법 금융투자업자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9
3493 고용량 과산화수소 함유한 Crest 3D White 치아미백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1.01.27
3492 고용량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함유한 불법 대마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2.03.07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