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해열·진통·항염증에 사용되는 의약품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이하, NSAIDs)*에 대해 임신 기간 중 사용 제한 정보 등을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추가하는 품목허가 변경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 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 NSAIDs) : 체내의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해열, 진통, 항염증 작용을 하는 약물

 변경 대상 품목은 NSAIDs 경구제·주사제 13개 성분* 669개 품목이며, 주요 내용은 ▲임신 30주 이후 NSAIDs 사용 회피 ▲임신 20~30주에는 최소 용량을 최단기간만 사용 ▲사용할 경우 양수 과소증 등을 관찰해 증상 발생 시 투여 중단 등이다.

   * 나프록센, 덱시부푸로펜, 디클로페낙, 살리실산이미다졸, 아세클로페낙, 아스피린, 에토돌락, 이부프로펜, 잘토프로펜, 케토프로펜, 펠루비프로펜, 프라노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등 13개

 이미 식약처는 2020년 10월 임신 20주 전후 임부가 NSAIDs를 사용하는 경우 드물게 태아가 심각한 신장 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을 피하도록 권고했으며, 국내 허가된 NSAIDs 31개 성분을 모두 ‘임부금기’로 지정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에도 등록했다.

   * 임신 20주경 이후 태아의 신장은 대부분의 양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신장 문제는 양수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음

 다만 이번 ‘사용상의 주의사항’ 변경은 식약처가 국내 허가된 NSAIDs 31개 성분의 허가사항을 품목별로 검토한 결과, 대부분 ‘임부금기’ 또는 ‘임신 말기 투여금기’가 이미 반영돼 있으나, 임신 주수(20주)에 따른 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는 일부 성분에 대해 진행하는 것이다.

 이번 품목허가 변경은 업계와 관련 의‧약 단체 등의 의견조회 절차를 거쳐 시행되며, 시행이 확정되면 해당되는 업체들은 시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 품목 허가증과 출고 제품 표시(용기‧포장, 첨부문서 등)에 동 정보를 반영하고 병·의원 등에 동 내용을 통보해 환자에게 처방‧조제 시 안내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참고로 임신 중 발열·통증 등 증상이 있는 경우 직접 소염진통제를 선택하지 말고 의·약사와 상담할 것을 권장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안심하고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약품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적극 알리고, 필요한 안전조치는 신속하게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허가사항 변경(안)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 누리집(nedrug.mfds.go.kr) → 고시/공고/알림 → 의약품 허가·승인 → 변경명령’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1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9 감전 위험이 있는 전원 어댑터 리콜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4 2017.07.10
3918 부품 부식 위험 있는 자전거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7.07.10
3917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 2017.07.10
3916 크롬 도금탈락으로 위해 우려되는 다이소 ‘레이저샤워헤드’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8 2017.07.10
3915 목졸림 위험있는 Small Foot Company(LEGLER)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6 2017.07.10
3914 Sick Science브랜드 비눗방울놀이 기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17.07.10
3913 더위가 시작되는 여름철, 감기 증상과 유사한 바이러스수막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7.07.11
3912 호우 및 장마기간 낙뢰사고 각별히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1 2017.07.11
3911 안전수칙 지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특히 하천·강에서 물놀이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7.07.14
3910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맞춤형 안전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7.07.17
3909 2017년 2/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7 2017.07.17
3908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7.07.17
3907 알루미늄 식기 안전하게 사용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17.07.18
3906 어린이보호구역, 과속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3 2017.07.18
3905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의 정상작동을 차단하는 센서캡 유통·판매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3 2017.07.18
3904 국표원, 수영복·전격살충기 등 48개 제품 리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7.18
3903 2017년 5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17.07.19
3902 휴가철 맞이하여 어린이·청소년 물놀이 안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8 2017.07.19
3901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크레이프 믹스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17.07.20
3900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팬케이크&와플 믹스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17.07.20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