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겨울철에 발생이 증가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 위생관리 등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 노로바이러스 :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로 영하 20도에서도 생존 가능

 최근 5년간(’18~’22년, 잠정)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45건이 발생했으며 특히, 겨울철인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102건으로 전체의 약 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 식품은 익히지 않은 어패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는 채소류와 지하수 순이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과 물(지하수)을 섭취하였거나 환자의 구토물, 오염된 손 등 사람 간 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와 세척·소독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므로 손을 씻을 때는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하게 세척 해야 한다.

 또한, 어패류는 중심 온도 8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하며, 노로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이 있는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서 마셔야 한다.

 칼·도마는 육류, 생선, 채소 등 식재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고 조리 기구는 열탕 소독하거나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로 소독 후 세척해야 한다.

 구토·설사 등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조리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은 조리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도록 하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환자의 구토물, 침 등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화장실, 문손잡이 등은 염소 소독제로 소독해야 한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면역력이 낮아 쉽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어린이집에서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위생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계절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는 식중독에 대한 예방수칙 정보를 제공하여 식중독 예방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11-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4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7.∼2015.7.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40 2015.08.03
4248 테더앵커 균열로 인해 분리 위험 있는 유아용 카시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9 2016.08.09
424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8.∼2015.9.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5 2015.09.30
424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5.∼2016.1.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2 2016.01.25
424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20~2015.11.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9 2015.11.30
424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1.∼2015.8.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3 2015.08.31
424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0.23.∼2015.10.2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1 2015.11.02
4242 '16년 2분기 해외 리콜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0 2016.09.26
4241 설 명절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20 2016.01.27
4240 2015년 10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8 2016.03.30
4239 2015년 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5 2016.03.30
423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1.∼2016.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5 2016.01.11
423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3.11~2016.3.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10 2016.03.23
4236 화재 위험 있는 LG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 무상수리 및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7 2017.02.08
4235 기아자동차(주) 니로 차량 경고등 점등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7 2016.11.28
423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9.11.∼2015.9.1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6 2015.09.22
4233 이사업체 허가여부 확인하고, 계약서 꼼꼼히 작성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3 2016.09.09
423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5.11.6~2015.11.1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0 2015.11.16
4231 '자동차 안전벨트 경고음 차단 클립' 유통·판매 중지 권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5 2017.02.28
4230 편의점 도시락, 안전기준에 적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4 2016.09.2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