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무인 점포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사진을 찍는 셀프 포토 스튜디오 서비스가 유행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셀프 포토 스튜디오 가맹점 수 상위 10개 업체의 매장(30개) 실태를 조사한 결과, 투입한 이용요금의 잔액이 반환되지 않거나, 결제 전에는 사진 컷 수, 촬영 횟수 등 상품 관련 정보를 알 수 없는 점 등의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현금 사용 시 잔액을 반환하지 않거나 출력 사진 수량을 짝수로만 제공

셀프 포토 스튜디오 매장을 실제 이용해 본 결과, 조사대상 10개 업체(30개 매장) 모두 현금으로 결제할 때 잔액을 반환하지 않았음에도 이에 대한 안내가 부족했다. 결제 화면과 포토 부스 기계에 잔액 미반환 내용을 모두 표시한 곳은 3개 업체(8개 매장)에 불과했고, 2개 업체(3개 매장)는 잔액 미반환에 대한 어떠한 표시도 없었다. 

7개 업체(21개 매장)에서는 짝수 장수로만 사진 출력이 가능했는데, 이 경우 3명이 함께 사진을 찍더라도 각자 사진을 가지려면 4장을 인쇄해야 한다. 결국 소비자는 짝수 출력만 가능한 매장(8,000원~10,000원/4장) 이용 시, 홀수 출력 가능 매장(7,000원 ~7,500원/3장)을 이용할 때보다 최소 500원에서 최대 3,000원을 더 지불하게 된다.

이용경험자 500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짝수 출력만으로 충분하다는 응답은 23%(11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촬영 횟수, 사진 컷 수, 사진 보관기간 등의 정보안내가 부족해

셀프 포토 스튜디오 이용자들은 서비스 이용 시 사진 컷 수(48%, 240명)가 가장 중요하고 다음으로 촬영 횟수(41%, 205명)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10개 업체(30개 매장) 모두 결제 후에야 화면에서 촬영 횟수를 안내해 사전에 소비자가 상품의 정보를 충분히 확인할 수 없었다.

더욱이 2개 업체(4개 매장)는 재촬영 가능 여부나 촬영 횟수 등을 실제 서비스와 달리 표시하고 있어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우려가 있었다. 특히, 증명사진 상품의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4개 업체 중 3개 업체(9개 매장)는 6~10회 촬영한 사진 컷 중에 단 한 컷만 선택할 수 있는데, 해당 업체의 일부 매장(6개)은 이러한 사실을 안내하지 않았다. .

한편 모든 사업자는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QR코드를 이용해 파일로 받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사업자가 소비자의 개인정보인 사진을 하려면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소비자에게 서비스 이용 동의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2개 업체(5개 매장)는 소비자의 동의 없이 파일을 제공했으며, 동의를 받을 때 사진 보관기간을 안내하는 곳은 3개 업체(7개 매장)에 불과했다. 또한, 3개 업체(4개 매장)사업자가 안내한 보관기간 이후에도 사진이 삭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돼, 개인정보에 대한 안내 및 관리의 개선이 필요했다.

문제 발생 시 연결 가능한 연락처가 없는 곳도 있어

무인 매장에서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문제가 생길 경우, 업주에게 연락해 신속한 조치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조사대상 매장 30곳 중 2곳은 연결 가능한 연락처를 안내하지 않았거나, 이전 가맹점주의 연락처를 안내했다.

최근 5년간 접수된 셀프 포토 스튜디오관련 소비자상담 31건 중 고객서비스 관련 피해가 64.5%(20)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잔액을 반환하고, 사진 수량을 홀수로도 선택할 수 있도록 결제 관련 문제점을 개선할 것, 서비스의 중요정보(컷 수, 촬영 횟수 등)의 잘못된 표시를 개선하고 상품 선택 시 충분히 안내할 것, 사진파일의 보관기간을 사전에 안내하고 보관기간이 경과한 사진파일은 폐기할 것,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연결이 가능한 연락처를 게시할 것 등을 권고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3-1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06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보험약관을 만들기 위해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제도를 개선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4
7905 소비자 기본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0 32
7904 소비자 권익제고를 위한 변액보험 적합성 진단제도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6
7903 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민간자격 표준약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1 54
7902 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해 합리적인 카드 포인트 적립 개선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6 19
7901 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한 「자동차보험 제도 개선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0 8
7900 소비자 건강 관심 반영해 내년부터 주류 열량 표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3
7899 소비자 93.7%, 사물인터넷 제품 가격에 부담 느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6 72
7898 소비자 5명 중 1명이 렌터카 이용 중 차량 고장을 경험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20
7897 소비자 2명 중 1명, 키오스크 이용 중 불편·피해 경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4 9
7896 소비심리 둔화, 친환경농산물 판매는 오히려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9 213
7895 소비생활만족도 2년 전보다 7.8점 낮아져, 제주·서울 높고 경남·충북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78
7894 소비생활 중요 3대 분야, 식·주·의에서 식·주·금융으로 변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3 24
7893 소비량이 급증하는 즉석조리식품, 단위가격 표시 품목 지정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42
7892 소비기한, 궁금하신 점을 해소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17
Board Pagination Prev 1 ...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