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남인숙)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전기매트류’(663.3%)와 ‘점퍼·재킷류’(161.6%) 소비자 상담이 크게 늘었다. 또한 ’국외여행‘(116.9%) 및 ’신용카드‘(82.4%)도 전년 동월 대비 상담 건수가 증가했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발신자부담)

☐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7.0% 증가

  2023년 10월 소비자상담은 40,695건으로 전월(38,035건) 대비 7.0%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49,481건) 대비 17.8% 감소했다.

☐ ’전기매트류‘, ’점퍼·재킷류‘ 전월 대비 상담 증가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은 ‘전기매트류’(663.3%),점퍼·재킷류’(161.6%)의 순으로 높았다. ‘전기매트류’는 온도조절 불량으로 인한 교환 및 환급 요구에 대한 업체의 처리 지연과 거부에 대한 불만이 많았고, ‘점퍼·재킷류’는 주로 제품 하자로 인해 교환·환급을 요구했으나 업체가 거부하여 발생한 불만이었다.

☐ ’국외여행’, ‘신용카드’ 전년 동월 대비 상담 증가

  전년 동월 대비 상담 증가율은 ‘국외여행’(116.9%), ’신용카드‘(82.4%)의 순으로 높았다. ‘국외여행‘은 계약 해지 시 업체에서 과도한 위약금을 요구한다는 내용의 상담이 많았고, ’신용카드‘는 해외번호로 신용 카드사를 사칭한 무작위 스미싱과 관련한 소비자 상담이 많았다.

☐ 10월 ’헬스장‘,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상담 많아

  10월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헬스장’(1,112건)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이동전화서비스’(830건), ‘의류·섬유’(801건)가 뒤를 이었다. ‘헬스장’은 중도 해지 시 과도한 위약금 요구 및 환불 거부로 인한 상담이 많았고, ‘이동전화서비스’는 업체의 계약조건에 대한 설명 미흡과 개통취소 거부에 대한 소비자 상담이 주를 이뤘다. ‘의류·섬유’는 업체의 배송·교환·환급 지연 및 거부로 인한 소비자 상담이 많았다.

  전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던 공산품 관련 소비자상담은 품질 불량 및 하자로 인한 교환·환급 요구 거부에 대한 내용이 많았고, 판매방법 중에서는 국내온라인거래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온라인쇼핑몰 업체의 교환·환급 지연 및 거부 관련 불만 등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소비자는 신원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통신판매업자로 신고되지 않은 사업자와의 거래를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결제 시 ‘에스크로’ 또는 ‘소비자피해보상보험’ 등 구매안전서비스가 확보된 전자상거래 업체를 이용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통신판매사업자의 신고여부 및 신원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www.ftc.go.kr)를 통해 확인 가능

  그리고, 사업자 정보와 결제내역 등의 증빙자료를 보관해 피해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자피해가 발생할 경우, 거래내역, 증빙서류 등을 갖추어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 발신자부담)또는 소비자24를 통해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 업체가 연락 두절 또는 폐업일 경우 합의권고를 통한 해결이 어려울 수 있음.


[ 한국소비자원 2023-11-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75 가맹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9
13174 농약잔류기준이 궁금하다면, 농약명.농산물명으로 찾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9
13173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부24에서 국가자격정보 증명서 온라인 발급 9종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9
13172 납세자보호관, 지방세 고충민원 해결사로 정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9
13171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한국고용노동교육원법 등 5개 제.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9
13170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 자격 확인 서비스, 올해 200여곳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2 9
13169 바우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신고포상금 상한 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9
13168 전자증명서 발급 신청・제출, 앞으로 페이코에서도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1 9
13167 국민생활 불편을 초래하는 규제를 적극 개선하겠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7 9
13166 공익법인의 세법상 의무이행과 성실신고를 적극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8 9
13165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국화(건조)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3 9
13164 불필요한 민원서류 대폭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8 9
13163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환경정책을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4 9
13162 쇳조각 혼입 누룽지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9
13161 전년 주택임대 수입금액 2천만 원 이하자도 올해 소득세 신고대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2 9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