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4주간 약 2배 증가(10월 3주 102명 → 11월 2주 226명)하고, 특히 소아를 포함한 학동기 아동(1~12세)이 입원환자의 79.6%를 차지*하고 있어 소아 및 학령기 아동의 감염예방을 위한 개인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입원환자 연령분포(11월 2주, 총 226명): (7-12세) 111명(49.1%) > (1-6세) 69명(30.5%) > (19-49세) 17명(7.5%) > (13-18세) 14명(6.2%) > (65세이상) 7명(3.1%) > (0세) 4명, (50-64세) 4명 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제4급 법정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4년 주기로 유행하고 있다(붙임 1 참고).  
  * 총 입원환자수 ’19년(13,479명), ’15년(12,358명) 발생 

 질병관리청이 실시하는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218개) 대상 표본감시 결과, 입원환자 수는 최근 4주간(10.15. ~ 11.11.) 627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동기간 대비(’18년 770명, ’19년 2,333명) 낮은 수준이나, 지난해 동기간대비(196명) 높은 상황이다. 
  * 최근 4주 동기간 발생(’18∼’23년): ’18년 770명 → ’19년 2,333명 → ’20년 129명→ ’21년 163명 → ’22년 196명 → ’23년 627명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유사하나, 한번 증상이 발생하면 약 3주간* 지속 후 회복된다. 다만 인플루엔자 및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중복 감염이 발생 시 일부 사례에서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의료기관 진료를 통한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 (감기) 통상 1주일 정도 증상 지속,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약 3주간 증상 지속 

  또한, 주로 소아 및 학령기 아동, 젊은 성인층에서 유행하는 폐렴의 흔한 원인으로 환자의 기침, 콧물 등 호흡기 비말 또는 환자와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고, 같이 생활하는 가족이나 보육시설, 기숙사 등 집단시설로부터 전파가 일어나므로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등교·등원을 자제하고 집에서 휴식할 것이 권고된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소아 감염 전문가 자문회의(11.14.)를 통해 최근 발생상황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였고, 향후 유행 증가를 대비한 국내 항생제  수급 관련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또한, 시도 보건과장 회의(11.16.)를 개최하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등 최근 국내 유행중인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대비·대응 상황을 점검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올바른 손씻기와 기침 예절을 준수할 것”과,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생활을 하는 공간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등의 공동사용을 제한하고, 소아, 학령기 아동들의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하여 적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 예절 실천 준수하기

  ①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②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③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④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질병관리청 2023-11-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53 돌의 혼입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Rudehealth 그래놀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3952 부패 가능성이 있는 Post 시리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2.19
3951 제품의 색이 변하는 하자가 발생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2.19
3950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ION 비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19
3949 높은 수준의 아크릴아마이드를 함유한 Gopure 야채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9
3948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가 함유된 Funny-frisch 프레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3947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FEG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12.19
394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dmBio 타이거넛 가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2.19
3945 약효 성분이 읽기 힘든 방식으로 표기된 커큐민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9
3944 특정 온도에서 부상 방지 효과가 미흡한 Dunlop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9
3943 감전 위험이 있는 Miami Carry On 여행용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12.19
3942 허용치 넘는 납을 함유한 H&M 남성용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3.12.19
3941 감전 사고 위험 있는 Konges Sloejd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9
3940 소형 자석 삼킴 가능성 있는 STAX 자석블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9
3939 삼킴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ZDZBLX 자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2.19
3938 표시사항 및 포장 요건을 위반한 Epoartist 에폭시 레진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2.19
3937 끈에 질식할 우려 있는 PlanToys 카메라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2.19
3936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야채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12.19
3935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맑은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3934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치킨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9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