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4주간 약 2배 증가(10월 3주 102명 → 11월 2주 226명)하고, 특히 소아를 포함한 학동기 아동(1~12세)이 입원환자의 79.6%를 차지*하고 있어 소아 및 학령기 아동의 감염예방을 위한 개인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입원환자 연령분포(11월 2주, 총 226명): (7-12세) 111명(49.1%) > (1-6세) 69명(30.5%) > (19-49세) 17명(7.5%) > (13-18세) 14명(6.2%) > (65세이상) 7명(3.1%) > (0세) 4명, (50-64세) 4명 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제4급 법정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4년 주기로 유행하고 있다(붙임 1 참고).  
  * 총 입원환자수 ’19년(13,479명), ’15년(12,358명) 발생 

 질병관리청이 실시하는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218개) 대상 표본감시 결과, 입원환자 수는 최근 4주간(10.15. ~ 11.11.) 627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동기간 대비(’18년 770명, ’19년 2,333명) 낮은 수준이나, 지난해 동기간대비(196명) 높은 상황이다. 
  * 최근 4주 동기간 발생(’18∼’23년): ’18년 770명 → ’19년 2,333명 → ’20년 129명→ ’21년 163명 → ’22년 196명 → ’23년 627명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유사하나, 한번 증상이 발생하면 약 3주간* 지속 후 회복된다. 다만 인플루엔자 및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중복 감염이 발생 시 일부 사례에서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의료기관 진료를 통한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 (감기) 통상 1주일 정도 증상 지속,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약 3주간 증상 지속 

  또한, 주로 소아 및 학령기 아동, 젊은 성인층에서 유행하는 폐렴의 흔한 원인으로 환자의 기침, 콧물 등 호흡기 비말 또는 환자와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고, 같이 생활하는 가족이나 보육시설, 기숙사 등 집단시설로부터 전파가 일어나므로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등교·등원을 자제하고 집에서 휴식할 것이 권고된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소아 감염 전문가 자문회의(11.14.)를 통해 최근 발생상황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였고, 향후 유행 증가를 대비한 국내 항생제  수급 관련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또한, 시도 보건과장 회의(11.16.)를 개최하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등 최근 국내 유행중인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대비·대응 상황을 점검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올바른 손씻기와 기침 예절을 준수할 것”과,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생활을 하는 공간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등의 공동사용을 제한하고, 소아, 학령기 아동들의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하여 적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 예절 실천 준수하기

  ①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②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③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④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질병관리청 2023-11-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00 이마트몰 사칭 부업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4.02.27
4099 역화 현상으로 화재 위험이 있는 Ooni 캠핑용 피자 오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2.20
4098 장치 결함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Edelrid 등산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2.20
4097 적합성 평가 인증이 없는 Jiuran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2.20
4096 배터리팩 PCB 보드 단락 위험이 있는 Laiben 핸디 진공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4.02.20
4095 잠금 기능에 결함이 있는 반려견용 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2.20
4094 소형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마트료시카 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4.02.20
4093 리본에 목졸림 위험 있는 유아용 텐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2.20
4092 폼알데하이드 검출된 FRIGG 노리개젖꼭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4.02.20
4091 일부 제품에 재봉 바늘 혼입된 유아용 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2.20
4090 카드뮴 최대 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2.20
4089 고수익으로 유혹하는 금융회사 사칭 불법 금융투자업자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2.19
4088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터널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4.02.16
4087 감전 위험 초래할 수 있는 Tomas 해충 포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2.16
4086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Duo Xin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2.16
4085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미니 로봇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4.02.16
4084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EMS 힙 트레이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2.16
4083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스트로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4.02.16
4082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서던 피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2.16
4081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파라다이스 펀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16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