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마트폰, PC 등 IT 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쌓인 눈의 피로를 풀어 주는 눈 마사지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눈 마사지기는 눈과 얼굴에 밀착해 사용하는 만큼 저온 화상, 부종 등의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유통·판매 중인 눈 마사지기 20개 제품의 안전성과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이 안전기준을 위반하거나 표시사항이 기준보다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1개 제품, 이상 운전 시험에서 온도 기준 초과

눈 마사지기는 안전기준*에 따라 소음, 온열, 타이머, 이상 운전 등 안전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하는데, 조사대상 20개 중 1개 제품이 이상 운전 시험에서 눈 마사지 패드의 온도 기준(50℃)을 초과했다.
* 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74 가정용 미용기기 제3부 눈 마사지기(’22.3.22. 시행)

한편, 눈 주변 등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눈 마사지기의 마사지 패드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폼알데하이드,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검출되는지 조사한결과, 20개 제품 모두 불검출되거나 기준 이하로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 안전기준준수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부속서 3(가죽제품),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준용

☐ 일부 제품, 안전확인 KC 표시하지 않아 개선 필요

눈 마사지기 제조·수입업자는 해당 안전기준에 따른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고 제품 또는 포장에 KC마크 및 안전확인 신고번호를 표시한 후, 출고하거나 통관시켜야 한다. 하지만 안전확인 신고 대상* 10개 제품 중 ‘눈 마사지기’로 신고·
표시한 제품은 2개에 불과했으며, 8개 제품은 ‘전지 안전인증’ 또는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전파인증)’만을 표시했다.
* 눈 마사지기는 제품 또는 포장에 표시된 제조연월 기준으로 해당 안전기준 시행 일자(’22.3.22.) 이후 제조품일 경우 안전확인 신고 대상임. 

또한 눈 마사지기는 KC표시(KC마크 및 안전확인 신고번호)와 더불어 안전기준 부속서의 표시사항도 준수해야 하나, 조사대상 20개 중 11개 제품이 ‘모델명’,
‘제조자명’, ‘제조연월’ 등 일부 표시사항 및 주의‧기재사항을 누락했다.

※ 해당 사업자 중 9개 업체는 우리 원 시정권고에 따라 조사대상 제품의 안전확인 신고 및 표시개선 등의 계획을 회신함.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사업자에게 제품의 회수와 표시사항 개선, 안전확인 신고 등을 권고하는 한편, 관계부처에는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눈 마사지기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눈 마사지기 구매 시 제품이나 포장에 KC표시(KC마크 및 안전확인 신고번호)가 있는지 확인할 것과 제품 설명서에 따른 권장 사용시간, 횟수및 사용 방법을 준수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안전이슈/보도자료 2023-1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49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12.06
3148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Nexxus 드라이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12.13
3147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Kawaii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12.15
3146 제이엠몰 / JM 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3.05.23
3145 화재보험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3.07.17
3144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3.09.07
3143 물놀이 사고…음주수영은 50대 이상, 수영미숙은 10대가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18.08.08
3142 대학 내 이동로, 보도·차도 미분리 및 과속 등으로 교통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18.08.14
3141 어린이 삼킴 및 질식 위험 있는 Jelly Growing Sea Life Creatures 팽창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0.07.01
3140 아기가 익사할 수 있는 Frieyss 영아용 목욕의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1.11.03
3139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1.11.04
3138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MDH 커리 가공식품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1.11.04
3137 여름철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7.05
3136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FOCUS 전기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7.15
313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4)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9.27
3134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12.15
3133 금지하는 MCI, MI 혼합물 함유해 피부염 위험 등으로 리콜된 BYPHASSE 헤어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3.01.13
3132 수입 ‘능이버섯’ 진위 확인검사 결과…가짜 능이버섯 3개 제품 적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3.05.03
3131 포장 결함으로 인해 곰팡이 발생 가능성이 있는 이치란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4.01.08
3130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4.03.18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