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마트폰, PC 등 IT 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쌓인 눈의 피로를 풀어 주는 눈 마사지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눈 마사지기는 눈과 얼굴에 밀착해 사용하는 만큼 저온 화상, 부종 등의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유통·판매 중인 눈 마사지기 20개 제품의 안전성과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이 안전기준을 위반하거나 표시사항이 기준보다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1개 제품, 이상 운전 시험에서 온도 기준 초과

눈 마사지기는 안전기준*에 따라 소음, 온열, 타이머, 이상 운전 등 안전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하는데, 조사대상 20개 중 1개 제품이 이상 운전 시험에서 눈 마사지 패드의 온도 기준(50℃)을 초과했다.
* 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74 가정용 미용기기 제3부 눈 마사지기(’22.3.22. 시행)

한편, 눈 주변 등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눈 마사지기의 마사지 패드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폼알데하이드,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검출되는지 조사한결과, 20개 제품 모두 불검출되거나 기준 이하로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 안전기준준수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부속서 3(가죽제품),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준용

☐ 일부 제품, 안전확인 KC 표시하지 않아 개선 필요

눈 마사지기 제조·수입업자는 해당 안전기준에 따른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고 제품 또는 포장에 KC마크 및 안전확인 신고번호를 표시한 후, 출고하거나 통관시켜야 한다. 하지만 안전확인 신고 대상* 10개 제품 중 ‘눈 마사지기’로 신고·
표시한 제품은 2개에 불과했으며, 8개 제품은 ‘전지 안전인증’ 또는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전파인증)’만을 표시했다.
* 눈 마사지기는 제품 또는 포장에 표시된 제조연월 기준으로 해당 안전기준 시행 일자(’22.3.22.) 이후 제조품일 경우 안전확인 신고 대상임. 

또한 눈 마사지기는 KC표시(KC마크 및 안전확인 신고번호)와 더불어 안전기준 부속서의 표시사항도 준수해야 하나, 조사대상 20개 중 11개 제품이 ‘모델명’,
‘제조자명’, ‘제조연월’ 등 일부 표시사항 및 주의‧기재사항을 누락했다.

※ 해당 사업자 중 9개 업체는 우리 원 시정권고에 따라 조사대상 제품의 안전확인 신고 및 표시개선 등의 계획을 회신함.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사업자에게 제품의 회수와 표시사항 개선, 안전확인 신고 등을 권고하는 한편, 관계부처에는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눈 마사지기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눈 마사지기 구매 시 제품이나 포장에 KC표시(KC마크 및 안전확인 신고번호)가 있는지 확인할 것과 제품 설명서에 따른 권장 사용시간, 횟수및 사용 방법을 준수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안전이슈/보도자료 2023-1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3 KS기준(강모다발 유지력)을 충족하지 못한 마이비 유아 칫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4 2017.06.01
3912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0 2017.06.01
3911 바르는 여드름 치료제, 여드름 부위에만 사용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2 2017.06.01
3910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4 2017.06.01
3909 벤츠, 포르쉐, BMW, 두카티 리콜실시 (총 15개 차종 2,014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6.01
3908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잡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03 2017.06.02
3907 부품 탈락에 따른 질식사고 위험있는 Fiesta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2 2017.06.02
3906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0 2017.06.02
3905 신체부위가 끼일 위험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7.06.02
3904 누유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호스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2 2017.06.02
3903 절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주방용 칼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155 2017.06.02
3902 감전위험 있는 패널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7.06.02
3901 화상위험 있는 게임패드 충전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6.02
3900 과열 및 발연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6.02
3899 스탠드 붕괴로 골절, 열상,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테이블톱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2 2017.06.02
3898 Safety-1st, 쉽게 파손되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17.06.02
3897 KidsⅡ, 질식 우려 있는 딸랑이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6.02
3896 RUBIE’S, 목졸림 위험있는 어린이 코스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4 2017.06.02
3895 스피드웨이 미니3 접힘축 폴딩레버 파손에 따른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6 2017.06.02
3894 Boosted Dua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중지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2 2017.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