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11월 18일부터 일주일간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을 맞아, 항생제 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올바른 항생제 사용문화 정착을 위한 ‘2023년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5년「항생제 내성 글로벌 행동계획*」에 따라 매년 11월 18일에서 24일까지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으로 지정하고, 국가별 실정에 맞는 캠페인을 운영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이 기간을 활용해 2017년부터 매년 일반 국민과 의료계의 항생제 적정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집중 홍보를 추진하고 있다.
  * 5대 전략목표 중 하나로 ‘효과적인 의사소통․교육을 통한 이해 및 인식 증진’ 포함

  질병관리청에서 수행한 2022년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많은 국민들이 세균 감염질환이 아닌 경우도 항생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등 항생제의 용도에 대해 잘못 이해(약 74%)하고 있었다.

  의사가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을 하게 되는 경우는, ▲2차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하는 경우가 40.9%로 가장 높았고, ▲항생제 필요상황을 구분하기 어려워서가 22.2%였으며, ▲환자 요구로 항생제를 처방하는 경우가 15.8%였다. (붙임1 참조)

  항생제 내성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적정 용량과 치료 기간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항생제 내성의 출현에 ‘항생제 오남용’이 주요 원인임을 항생제 사용자와 의료인(처방권자)이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국내 인식주간 캠페인은 항생제 적정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제대로 사용해요(항·필·제·사!)”라는 표어를 슬로건으로 정하였다. 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세부 메시지를 담은 홍보물을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에 게재하고, 인식주간이 포함된 11월 한 달간 질병관리청 누리소통망, 민간전광판, 라디오 음원 광고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홍보를 지속할 계획이다. (붙임2 참조)

  올해는 항생제 사용량이 많은 어린이와 보호자 대상 항생제 내성 예방수칙 홍보 강화를 위해 서울역 2층 대합실 맞이방에서 홍보부스(11.17.(금)~11.21.(화), 5일간)를 운영한다. 

  부스는 홍보물 전시존, 항생제 내성 예방 처방전 꾸미기 체험존, 내성잘알(잘 아는 사람) 퀴즈존, 어린이 포토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방문객들에게 항생제 사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 

  11월 22일(수)에는 오전 10시부터 서울에서 대한항균요법학회와 공동으로 ‘2023년 항생제 내성 포럼’을 개최한다. 행사는 “항생제 적정 사용”을 주제로 ▲국내외 정책 및 연구현황 공유, ▲학술발표, 정부 부처와 전문가, 언론, 제약사 등이 항생제 내성 관리 방향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는 ▲패널 토의 등 총 3부로 운영되며,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에 헌신한 ▲유공자 표창 수여식도 함께 있을 예정이다. (붙임3 참조)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향후 신종 감염병의 지속 출현과 인구 고령화에 따른 감염취약자 증가 등으로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항생제 남용은 ‘조용한 팬데믹’이라 불릴 만큼 심각한 보건 위협이 되는 주제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 부처와 의료기관, 사회 각 분야 협력을 통해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고 항생제 적정 사용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질병관리청 2023-1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3 KS기준(강모다발 유지력)을 충족하지 못한 마이비 유아 칫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4 2017.06.01
3912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0 2017.06.01
3911 바르는 여드름 치료제, 여드름 부위에만 사용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2 2017.06.01
3910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4 2017.06.01
3909 벤츠, 포르쉐, BMW, 두카티 리콜실시 (총 15개 차종 2,014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6.01
3908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잡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01 2017.06.02
3907 부품 탈락에 따른 질식사고 위험있는 Fiesta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2 2017.06.02
3906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0 2017.06.02
3905 신체부위가 끼일 위험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7.06.02
3904 누유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호스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2 2017.06.02
3903 절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주방용 칼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154 2017.06.02
3902 감전위험 있는 패널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7.06.02
3901 화상위험 있는 게임패드 충전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6.02
3900 과열 및 발연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6.02
3899 스탠드 붕괴로 골절, 열상,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테이블톱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2 2017.06.02
3898 Safety-1st, 쉽게 파손되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17.06.02
3897 KidsⅡ, 질식 우려 있는 딸랑이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6.02
3896 RUBIE’S, 목졸림 위험있는 어린이 코스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4 2017.06.02
3895 스피드웨이 미니3 접힘축 폴딩레버 파손에 따른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6 2017.06.02
3894 Boosted Dua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중지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2 2017.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