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5,59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2022년도 주요정보를 공개하였다. 후원방문판매는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나 판매원 자신과 직하위 판매원의 실적에만 후원수당이 지급되는 판매형태를 말한다.

* 2022년도말 기준, 7,905개 등록업체 중 1) 2022년에 영업실적이 있고, 2) 2023년 10월 말 기준 정상 영업 중인 사업자 대상

2022년도 후원방문판매업자 수와 판매원 수는 증가하였으나, 후원방문판매 시장의 총매출액은 전년보다 감소하였다. 2020년 이후로 판매업자 수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매출액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ㅇ (후원방문판매업자 수) 5,472개(′21년) ⇒ 5,594개(′22년) 2.2%↑

 ㅇ (후원방문판매원 수)  853,128명(′21년) ⇒ 913,045명(′22년) 7.0%↑

 ㅇ (매출액 합계) 2조 9,938억 원(′21년) ⇒ 2조 8,324억 원(′22년) 5.4%↓

㈜리만코리아,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웨이㈜ 등 매출액 기준 상위 4개사가 전체 시장 매출액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9%로 시장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등록 판매원 수도 시장 전체 등록 판매원 수의 69.28%를 차지하는 등 시장구조가 상위 업체들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상위 업체들은 대부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7,243억 원으로, 전년(7,547억 원) 대비 4.0% 감소하였다. 후원방문판매원 중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61.4% (560,553명)이며, 이들 중 상당수(68.7%, 385,236명)는 연 50만 원 미만을 받았다. 또한,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 중 연 3,000만 원 이상을 받은 판매원은 0.4%(2,363명)에 불과했다.
  
최근 후원방문판매업 등록을 하고 실질적으로 다단계판매 방식으로 운영한 미등록 다단계업체가 여러 건 적발되고, 2022년말 등록된 7,905개 업체 중 2,311개(29.2%)가 휴·폐업하는 등 후원방문판매업자에 대한 정보 확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후원방문판매원은 활동에 앞서 해당 업체가 방문판매법상 적법하게 운영되는 업체인지, 후원수당 지급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5,59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매출액, 소속 판매원 수, 후원수당 지급현황 등 주요 정보는 공정위 누리집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 개별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세부 정보는 공정위 누리집(www.ftc.go.kr) 상단 ‘정보공개’ → ‘사업자정보공개’ → ‘후원방문판매사업자’ 에서 확인 가능

한편, 「다단계판매업자‧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가 최근 개정*(’23.7.3. 시행)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전자거래 방식과 그 외 방식으로 나누어 후원방문판매업자의 판매방식별 정보공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개정(’23.3.21. 시행)을 통해 제한적 전자거래 허용



[ 공정거래위원회 2023-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44 8월 숙박시설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 대비 약 1.8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7 10
12643 식약처, 인체 유래 세포 배양액을 원료로 사용한 화장품 관리 철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05 10
12642 부동산신탁사를 통한 분양계약 시, 계약사항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05 10
12641 ‘조용한 뼈 도둑’ 골다공증 예방관리,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10
12640 빈집 철거 시 재산세 부담 완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5 10
12639 코로나19 이후, 당신의 건강은 어떤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10
12638 임신진단테스트기는 식약처 인증 제품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0
12637 의료사고 부담 완화 방안 및 의료사고 피해자 구제방안 마련 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2 10
12636 지역사랑상품권 부정유통 하반기 전국 일제단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6 10
12635 가을에도 빈틈없는 수난 안전관리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7 10
12634 “2024년 스포츠강좌이용권, 지금 신청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0
12633 자해·자살 환자 중 10-20대 비율 10년 새 15%p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0
» 2023년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10
12631 집중 점검과 신속한 방제로 빈대 확산 철저 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0
12630 동물 찻길사고 줄이고 이동은 쉽게… 개선된 생태통로 지침 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0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