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공정거래조정원(원장 최영근, 이하 ‘조정원’)에 따르면, 공급원가 등 변동에 따른 하도급대금 조정* 관련 분쟁은 2021년부터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2023년(10월 기준) 분쟁 접수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38건→57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급사업자가 제조 등을 위탁받은 후 공급원가(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이 변동되어 하도급대금의 조정이 불가피한 경우 원사업자에게 하도급대금 조정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하도급법’) 제16조의2)

또한, 조정원에 접수된 전체 하도급거래 분야의 분쟁 중 공급원가 등 변동에 따른 하도급대금 조정에 관한 분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10월 기준) 6.8%로 2020년 대비 5.2%p 상승*하였다.  
* (’20년) 1.6% → (’21년) 3.9% → (’22년) 6.3% → (’23년 10월) 6.8%

  주요 사례로는 발주자가 대금을 조정해 주지 않아 수급사업자에게도 대금을 조정해 줄 수 없다는 이유로 협의를 거부하는 경우, “공사금액의 증가를 요구할 수 없음”이라는 계약조항을 근거로 협의에 응하지 않는 경우, 잔여 공정을 마무리한 이후로 협의를 무한 지연하는 경우 등이 있다.

 ※ 하도급법에 따르면, 원사업자는 하도급대금 조정 신청이 있은 날부터 10일 이내 수급사업자 등과 협의를 개시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협의를 거부하거나 게을리하여서는 아니 된다.


조정원은 주요 분쟁 사례별로 하도급대금 조정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참고 가능한 법령 및 지침과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안내하였다.


  한편, 조정원은 하도급대금 연동제*를 도입하는 원사업자 및 수급사업자를 현장에서 밀착 지원하기 위해 10월 20일 ‘하도급대금 연동 확산 지원본부(전화 1855-1490)’로 지정되어 시범 운영을 개시하였다. 

* 하도급대금 연동제는 주요 원재료(하도급대금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원재료)가 있는 하도급거래에 대하여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간 연동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10월 4일부터 시행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간 공급원가 변동 관련 제분쟁이 발생하여 조정이 필요한 경우 조정원 ‘분쟁조정콜센터(전화 1588-1490)’를 통한 상담 또는 ‘온라인분쟁조정시스템(https://fairnet.kofair.or.kr)’을 통한 분쟁조정 신청으로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



[ 공정거래위원회 2023-11-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69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공기주입식 주사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30
4068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된 코끼리 지갑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4.04.16
4067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된 아가츠마(Agatsuma) 샤워기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0.12.07
4066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및 질식 위험 있는 Wuleeup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1.04.28
4065 프탈레이트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 건강 및 질식 위험 있는 SYZ 비치볼 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7 2022.06.14
4064 프탈레이트 검출된 에어팟 i10 (차이팟 i10) 블루투스 이어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6.07
4063 프탈레이트 검출된 Urban Fight 운동용 장갑(복싱패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4.05
4062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과다 함유한 Flynova Pro 플라잉 스피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4.01.05
4061 프탈레이드 과다 함유로 어린이 건강 위험있는 Ohuhu 어린이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4.04
4060 프리걸 / freegir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21.10.25
4059 프론트 포크 파손 우려로 부상 위험이 있는 SCOTT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4.04
4058 프레임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주)알톤스포츠 자전거 사전 안전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54 2015.04.21
4057 프레임 균열로 운전자 낙상 위험성 있는 접이식 자전거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93 2016.08.09
4056 프레임 균열로 부상 위험 있는 전기 화물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4.16
4055 퓨즈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4.02.15
4054 퓨즈·플러그 결함으로 감전 및 부상의 위험이 있는 Aovopro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4053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13
4052 품질 및 위조품 문제로 리콜된 Vevor 휴대용 공기 압축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11.16
4051 품질 문제 있는 엽산 함유한 BetterYou 구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01.27
4050 표시사항 요건 미준수해 화상 및 화재 위험있는 Hestia Canada 휴대용 난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2.04.04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